기아 콤팩트 전기 SUV EV3
최근 택시로 인기 높아져
저렴한 충전비 장점 크다
기아가 전기차 대중화를 내세워 출시한 소형 전기 SUV EV3, 최근 예상치 못한 영역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택시 시장에서 가성비 끝판왕으로 통하는 EV3가 입소문을 타며 택시 업계의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한 것이다.
전기차 보조금을 반영하면 3천만 원 초반대라는 비교적 낮은 가격, 넉넉한 실내 공간, 그리고 압도적으로 낮은 유지비 덕분에 EV3는 빠르게 기사들의 선택지를 장악해 가고 있다. 내연기관 중심이던 택시 시장에서 하루 300km 이상 운행이 기본인 기사들에게 EV3는 효율성과 실용성을 모두 갖춘 유일한 대안이 되고 있다.
택시 기사들이
EV3를 택한 이유
EV3는 출시 이후 1년도 채 되지 않아 택시 신규 등록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 집계에 따르면 올해 4월까지 EV3는 전국에서 총 496대가 택시로 등록됐다. LPG 중심의 기존 시장에서 전기 SUV가 이 정도로 빠르게 자리를 잡는 경우는 흔치 않은 일이다. EV3가 주목받는 결정적인 이유는 충전비 절감이다.
게다가 EV3는 실내 공간에서도 경쟁력을 갖췄다. 같은 가격대의 현대 캐스퍼 일렉트릭은 뒷좌석이 좁아 택시로는 부적합하다는 평가가 많지만, EV3는 차급 대비 여유 있는 뒷좌석 공간을 갖춰 승객 응대에도 불편이 없다. 택시 기사 입장에서는 연료비, 가격, 공간 세 요소를 모두 충족하는 차량은 흔치 않다.
또 다른 강점은 전기차 특유의 ‘원 페달 드라이브’ 시스템이다. 정차와 감속이 쉬워 장시간 운전 피로도를 낮춰주며, 이 역시 실제 운전자가 체감하는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운행 후 퇴근과 동시에 충전만 해두면 다음 날 하루 운행이 가능한 구조도 효율적이다. 여기에 EV3 롱레인지 기준 1회 충전 시 최대 501km에 달하는 주행거리도 강점이다.
전기 택시 시장
다시 살아날까
한때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였던 전기 택시 시장은 최근 2년간 정체기를 겪었다. 2022년 1만 5천 대까지 치솟았던 연간 등록 대수는 2023년 1만 2천 대, 2024년엔 5,800대 수준으로 급감했다. 업계에서는 이를 전기차 캐즘 현상으로 분석하고 있다. 한마디로 초기 수요층은 이미 전기차를 경험했고, 새로운 유입이 주춤하면서 성장세가 주저앉았다는 해석이다.
하지만 EV3를 비롯해 저렴하고 주행거리 긴 전기차가 속속 등장하면서 분위기가 바뀌고 있다. 한 번 전기차를 경험한 기사들은 재구매율이 높고, 자연스러운 선순환이 형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시장에서는 여전히 쏘나타 LPG 택시가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구매 단가·유지비·편의성에서 EV3가 보여주는 효율은 앞으로 무시하기 어려운 변수다.
특히 수도권 대도시를 중심으로 충전 인프라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고, 기사들의 전기차에 대한 이해도와 신뢰도도 높아지면서 전기 택시 시장이 다시 성장세로 돌아설 가능성도 충분하다. 아직은 조용한 변화에 그치지만, EV3는 전기차가 택시 시장에서도 주류로 올라설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첫 신호탄이 되고 있다. 업계가 주목해야 할 다음 수요는 이미 움직이고 있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email protected]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