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반떼 연식 변경 모델 출시
일부 옵션 기본화가 됐지만
가격 인상 71만 원 이뤄져

현대차가 2026년형 아반떼 출시와 함께 본격적인 판매에 돌입했다. 이번 연식 변경 모델은 고객 선호도를 반영한 옵션 기본화와 트림 재정비를 통해 상품성이 대폭 강화됐지만, 전반적인 가격 인상으로 인해 소비자 부담은 오히려 늘어났다는 지적이 뒤따른다.
특히 2026 아반떼는 기아 K3 단종 이후 사실상 국내 준중형 세단 시장에서 독점적 위치에 올라서며, 대체재가 마땅치 않은 상황이다. 특히 최근 이어지는 불경기로 인해 엔트리 세단인 아반떼를 찾는 소비자들이 증가하고 있어 이번 가격 인상이 소비자 부담 가중으로 다가올 수 있다는 지적이다.
편의 사양 대거 강화하면서
하이브리드 신규 트림 신설
이번 연식 변경 모델은 편의 사양 강화가 이뤄졌다. 기본 스마트 트림에는 버튼 시동, 스마트키 원격 시동, 웰컴 시스템, 스마트 트렁크, 도어 포켓 라이팅 등이 기본 탑재됐다. 모던 트림에는 고속도로 주행 보조,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내비게이션 기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등 첨단 운전자 보조 기능이 대거 기본화됐다. 인스퍼레이션 트림은 17인치 알로이 휠과 타이어를 기본 장착해 고급스러운 외관 완성도를 높였다.
하이브리드 라인업도 강화됐다. 스마트, 모던, 인스퍼레이션 트림 외에도 새로운 ‘모던 라이트’ 트림이 신설됐으며, 가죽 스티어링 휠과 가죽 변속기 노브, 1열 열선 시트를 적용해 가격 대비 만족도를 높였다. 특히 하이브리드 모던 트림에는 스마트폰 무선 충전 시스템과 현대 디지털 키 2 터치 기능이 기본화돼 실용성을 높였다.
실질적인 가격 인상 봤더니
30~61만 원 인상되었다
그렇다면 실질적인 가격 인상은 어느 정도일까? 먼저 가솔린 모델의 엔트리 트림인 스마트 트림부터 살펴보자. 해당 트림의 가격은 2,065만 원으로 25년식 대비 71만 원이 인상되었다. 다만 앞서 설명한 것처럼 일부 사양이 추가되었는데, 이전에는 69만 원 상당의 옵션으로 제공되던 컨비니언스 I의 일부 사양이 기본화되었다. 이 중에서 듀얼 풀오토에어컨은 제외되었으며, 26년식에서 38만 원을 내면 추가할 수 있다. 이를 감안하면 실질적으로 40만 원의 가격 상승이 이뤄진 셈이다.
모던 트림은 25년식 대비 65만 원이 인상되었다. 다만 스마트센스 I의 일부 사양을 기본화했는데, 해당 사양은 25년식에서 94만 원에 판매되던 옵션이다. 26년식부터는 스마트센스를 69만 원에 판매하고 있어 이를 계산해 본다면 25만 원 수준의 사양을 기본화한 셈이다. 이에 따라 모던 트림 역시 실질적으로는 40만 원의 가격 인상이 이뤄졌다. 인스퍼레이션은 60만 원이 인상되었으며, 30만 원 상당의 휠 옵션이 기본화되면서 실질 인상은 30만 원 수준이다. 마지막으로 N 라인은 변화 없이 61만 원이 인상되었다.
불경기 속 아반떼 찾는 소비자
가격 인상에 부담 늘어난다
전 트림에 걸쳐 가격 인상이 이뤄졌지만, 소비자들의 선택지는 제한된 상태다. 앞서 아반떼의 경쟁 모델이었던 기아의 준중형 세단 K3가 단종 절차를 밟았고, 사실상 엔트리 세단의 선택지가 아반떼 외에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이어지는 불경기에 아반떼를 찾는 소비자들은 오히려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가격 인상의 체감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세단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6.6% 증가한 10만 7,252대를 기록한 반면, SUV는 1.6% 줄어든 20만 2,447대를 기록했다. 아반떼는 이 중 전년 동기 대비 56.2% 늘어난 1만 8,909대가 팔렸다. 이같은 반등은 세단의 상대적 가격 경쟁력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같은 성능 대비 SUV보다 가격이 낮아 최근 이어지는 불경기 속 소비자들에게 가성비 있는 선택지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 가운데 가격 인상이 이뤄진 아반떼를 두고 시장에서 소비자들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