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임시공휴일 실책
해외 여행 수요만 키웠다
일본 좋은 일만 해준 꼴이네

정부가 내수 활성화를 명목으로 지난달 27일을 임시공휴일 지정했지만, 정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국내 소비 증가 효과는커녕 일본 여행 수요만 폭증하면서 일본 경제에 도움을 준 꼴이 됐기 때문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정부가 실질적인 소비 진작 정책 없이 단순히 휴일만 늘린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여행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의 주례 여행 행태 및 계획 조사에 따르면, 올해 1월 장기 연휴가 있었음에도 국내 여행지에 대한 관심은 오히려 급감했다.
연속 6~9일간 이어진 긴 연휴가 국내 관광 산업을 살리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됐지만, 현실은 달랐다. 지난해 1월보다 국내 여행 관심도는 10포인트(p) 하락했고, 국내에서 돈을 쓰겠다는 의향도 크게 줄어들었다.
특히 국내 여행에 대한 소비 심리는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향후 1년간 국내 여행비를 ‘더 쓰겠다’는 응답 비율은 26.3%에 그친 반면, ‘덜 쓰겠다’는 비율은 29%로 더 높게 나타났다.
국내 여행보다 해외여행에 대한 관심이 더 커지면서, 내수 활성화 정책이 완전히 실패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일본 여행 수요 폭발
한국 돈으로 일본 경제 부양
국내 여행 수요가 줄어든 만큼 해외ㅍ여행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특히 일본이 최대 수혜국이 됐다.
일본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월 일본을 찾은 한국인 관광객은 97만 9,042명으로, 같은 기간 일본인 전체 출국자 수(91만 2,325명)를 넘어섰다.
다시 말해, 일본을 방문한 한국인의 수가 전 세계로 떠난 일본인의 수보다 많다는 의미다.
이 같은 현상은 단순한 우연이 아니다. 컨슈머인사이트는 ‘국내 여행 경시 풍조’와 ‘비이성적인 해외여행 선호’가 문제의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조사에 따르면, 한국 여행객들은 2박 3일 국내여행 비용보다 더 큰 돈을 해외여행 하루에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이 아닌 외국에 돈을 쓰는 소비 패턴이 고착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 정부의 무리한 임시공휴일 지정이 국내 경제를 살리기는커녕, 일본 관광 산업을 활성화하는 결과로 이어진 셈이다.
이에 내수 경제를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정책이 오히려 외화를 유출시키고 있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또한 이제라도 정부는 실효성 있는 국내 관광 지원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댓글31
엥 내수경제 문제를 왜 연휴탓을 하세요 일본 가는거 노이해지만 내수경제 못살리는걸 연휴탓, 국민탓하는게 더 이해안감
중국은 왜가나요..일본보다 더 이해가 안가는 중국여행.
조영한이 너는 일본갈래? 아니면 제주도 갈래?
쓰바리시 짐
또리장군
애국심에 사로잡혀~, 국내 유명 관광지 가보면, 다시는 가고싶지 않을거다. 아무리 애국심으로 무장해도, 바가지 상술에 노출되어 보면.... 스스로 애국심을 놔~ 버릴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