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팩트체크 도로 위에 “택시 쏟아지더니”.. 운행 금지 선언에 날벼락 맞은 기사들, 왜?

도로 위에 “택시 쏟아지더니”.. 운행 금지 선언에 날벼락 맞은 기사들, 왜?

박어진 인턴 조회수  

택시 부제 부활 카드 꺼냈다
대구, 택시업계 긴장 고조
공급과잉 문제 해결될까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 사진 출처 = ‘보배드림’

대구시가 택시 공급 과잉 문제 해소를 위해 ‘택시 부제’ 재도입을 공식 검토하면서 업계가 크게 술렁이고 있다. 택시 부제는 일정한 요일마다 운행을 제한해 공급을 조절하는 제도다. 2004년부터 시행돼 오다 2022년 폐지됐으나, 코로나 이후 택시 수요가 회복되지 않으면서 다시 부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대구시는 최근 발표된 택시총량제 용역 결과를 토대로 과잉 공급 해소가 시급하다는 판단을 내렸으며, 부제 외에도 감차 보상제 등 다양한 조치를 함께 검토 중이다. 하지만 개인택시와 법인 택시 간 입장 차가 극명하게 드러나면서 시의 결정이 어떤 방향으로 귀결될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 사진 출처 = ‘대구시’

과잉 공급 심각해
수요보다 5천 대 많아

대구시가 발표한 제5차 택시총량제 용역에 따르면, 2025년 기준 대구 지역의 택시 면허 대수는 총 1만 5,703대로 집계됐다. 이 중 법인 택시는 5,664대, 개인택시는 1만 39대다. 반면, 수요와 가동률을 고려한 적정 택시 수는 1만 257대에 불과해 실제로 5,446대가 초과 공급된 상태다. 이 수치는 전국에서도 최고 수준으로, 지난 2020년 4차 용역 당시 5,475대 초과라는 결과와 거의 비슷한 양상이다.

이에 대구시는 차량 수를 물리적으로 줄이지 않는 한 공급 과잉 문제는 해소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있다. 감차 보상제도 논의됐지만, 실효성과 예산 문제로 일단은 부제 재도입이 현실적인 대안으로 거론된다. 참고로 부제는 과거 법인 택시는 6부제, 개인택시는 3부제로 운영됐다. 하루에 한 번 이상 의무적으로 쉬도록 하는 구조로, 일정 수준의 운행량을 강제 차단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과거 5년간 시행됐던 감차 보상제의 실패 경험도 있다. 실질적으로 운행하지 않는 차량을 대상으로 감차가 이루어졌고, 결과적으로 도심 내 택시 수요 조절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 사례다. 이번에도 감차는 예산과 운영 효율성 문제로 제외됐고, 부제라는 간접적 규제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른 셈이다. 다만 이를 두고 택시 업계의 반응은 극명하게 엇갈린다.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 사진 출처 = ‘당근마켓’

택시계 반응 엇갈려
시민 체감 대책 필요

개인택시 업계는 부제 재도입에 강한 반감을 드러내고 있다. 개인사업자인 운전자의 영업권을 침해한다는 것이다. “부제는 결국 일할 수 있는 시간을 줄이고, 수입 감소로 이어진다”는 입장이며, 이는 신규 기사 유입 저해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로 확산되고 있다. 개인택시조합 측은 이미 차량 정비나 휴식을 자율적으로 조절하는 만큼 과거처럼 운행을 강제로 제한하는 방식은 시대착오적이라고 지적한다.

반면 법인 택시 업계는 정반대 입장이다. 현재는 기사 부족으로 차량이 일부 유휴 상태이며, 부제 유무와 관계없이 정기적 휴무가 이미 이뤄지고 있다고 강조한다. 따라서 부제 도입으로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더 나아가 근본적 해법으로 면허 자체를 줄이는 감차 보상제까지 병행되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낸다. 대구시는 공급만 줄일 것이 아니라 수요도 늘리는 방식으로 병행 대책을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대표적으로 교통약자를 위한 나드리콜 택시를 316대 증차하고, 수요응답형 택시인 ‘행복택시’ 확대 운영도 함께 고려 중이다.

이는 공급 제한에 따른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허준석 대구시 교통국장은 “법인과 개인택시 간 입장 차가 뚜렷한 만큼 각계 의견을 수렴해 최적의 해법을 도출하겠다”고 밝혔으며,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정책 방향을 결정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택시 부제가 과연 혼잡한 도심 교통과 공급 불균형을 개선할 수 있을지, 그리고 시민들의 체감 만족도를 함께 끌어올릴 수 있을지 그 실행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email protected]

댓글0

300

댓글0

[팩트체크] 랭킹 뉴스

  • 결함 고쳤다더니 또 '이 꼴'.. 논란 터진 국산 전기차, "도대체 어쩌려고?"
  • 한국에서 못 사는 기아 SUV, 무더기 포착 된다는 '이곳' 정체 놀랍다
  • "결국 한국 철수 결정?".. 위기 터진 '한국GM', 이런 과거 밝혀졌죠
  • 화물차 사고 60% '고령 운전자'.. 충격적인 조사 결과에 네티즌 '분통'
  • 불 나면 "5억 드립니다".. 현대기아 보다 낫다는 KGM 파격 결단
  • "여기서 더 비싸져요?" 신형 G80, 제네시스가 공개한 정보 '충격적'

당신을 위한 인기글

  • ‘기생충’에 이은 위대한 쾌거! 역사적인 대기록 세우며 세계 1위한 한국 작품
    ‘기생충’에 이은 위대한 쾌거! 역사적인 대기록 세우며 세계 1위한 한국 작품
  • 영화 상영 시간이 ‘최대한’ 긴 영화들이 흥행에 성공한다?
    영화 상영 시간이 ‘최대한’ 긴 영화들이 흥행에 성공한다?
  • 이것마저 ‘노후화’라니…한국의 미래 경쟁력을 하락시킬 치명적 문제 발견
    이것마저 ‘노후화’라니…한국의 미래 경쟁력을 하락시킬 치명적 문제 발견
  • 라면 2천원 보다 더 심각…한국 대표 서민 음식이 ‘2만원대’ 진입 눈앞
    라면 2천원 보다 더 심각…한국 대표 서민 음식이 ‘2만원대’ 진입 눈앞
  • “테슬라 충전기 호환” 최대 600km 주행 전기차 원조 ‘닛산 리프’ 출시
    “테슬라 충전기 호환” 최대 600km 주행 전기차 원조 ‘닛산 리프’ 출시
  • “제네시스 급 고급감에 깜짝!” 700km 달리는 프리미엄 전기차 출시
    “제네시스 급 고급감에 깜짝!” 700km 달리는 프리미엄 전기차 출시
  • ‘중국 BYD, 60조원 빚더미…’ 전기차 시장 대규모 파산 위기감 고조!
    ‘중국 BYD, 60조원 빚더미…’ 전기차 시장 대규모 파산 위기감 고조!
  • 아빠들 환장하는 ‘가성비 끝판왕’ 5천만 원대 아우디 SUV 풀체인지 공개!
    아빠들 환장하는 ‘가성비 끝판왕’ 5천만 원대 아우디 SUV 풀체인지 공개!

Hot Click, 연예가 소식

당신을 위한 인기글

  • ‘기생충’에 이은 위대한 쾌거! 역사적인 대기록 세우며 세계 1위한 한국 작품
    ‘기생충’에 이은 위대한 쾌거! 역사적인 대기록 세우며 세계 1위한 한국 작품
  • 영화 상영 시간이 ‘최대한’ 긴 영화들이 흥행에 성공한다?
    영화 상영 시간이 ‘최대한’ 긴 영화들이 흥행에 성공한다?
  • 이것마저 ‘노후화’라니…한국의 미래 경쟁력을 하락시킬 치명적 문제 발견
    이것마저 ‘노후화’라니…한국의 미래 경쟁력을 하락시킬 치명적 문제 발견
  • 라면 2천원 보다 더 심각…한국 대표 서민 음식이 ‘2만원대’ 진입 눈앞
    라면 2천원 보다 더 심각…한국 대표 서민 음식이 ‘2만원대’ 진입 눈앞
  • “테슬라 충전기 호환” 최대 600km 주행 전기차 원조 ‘닛산 리프’ 출시
    “테슬라 충전기 호환” 최대 600km 주행 전기차 원조 ‘닛산 리프’ 출시
  • “제네시스 급 고급감에 깜짝!” 700km 달리는 프리미엄 전기차 출시
    “제네시스 급 고급감에 깜짝!” 700km 달리는 프리미엄 전기차 출시
  • ‘중국 BYD, 60조원 빚더미…’ 전기차 시장 대규모 파산 위기감 고조!
    ‘중국 BYD, 60조원 빚더미…’ 전기차 시장 대규모 파산 위기감 고조!
  • 아빠들 환장하는 ‘가성비 끝판왕’ 5천만 원대 아우디 SUV 풀체인지 공개!
    아빠들 환장하는 ‘가성비 끝판왕’ 5천만 원대 아우디 SUV 풀체인지 공개!

추천 뉴스

  • 1
    "결국 중국한테 충성?".. 중국 기술로 구동된다는 일본 자동차, 뭐길래

    오토뉴스룸 

    사진 출처 = '토요타'
  • 2
    "90년대 쌍용 코란도, 다시 태어난다" 가격 2천만원 대라고?

    오토뉴스룸 

    사진 출처 'KGM'
  • 3
    "아무리 찾아도 단점이 없네".. 완벽하다 호평 받았다는 일본 자동차

    오토뉴스룸 

    사진 출처 = '혼다'
  • 4
    "중대형 SUV 전기차, 950만 원은 돼야…" 중국 전기차 CEO 발언

    오토뉴스룸 

    사진 출처 = '리프 모터'
  • 5
    "캠핑에 딱이네"… 르노가 전기차 전용으로 제작했다는 미니 카라반 비주얼

    오토뉴스룸 

지금 뜨는 뉴스

  • 1
    "경제성 1위" 세컨카로 안성맞춤인 이 국산차는?

    오토뉴스룸 

  • 2
    "차주분들 꼭 확인하세요".. 결국 싹 다 바뀌었다는 랜드로버 모델

    밀착카메라 

  • 3
    “2천만 원대에 이정도라고?”.. 드디어 출시된 ‘이 차’에 난리났죠

    오토뉴스룸 

  • 4
    "마니아들 벌써 신났다" '600마력' 오프로드 전기차 출시 임박

    오토뉴스룸 

  • 5
    "감성 치사량" 폭스바겐 골프 GTI, 고성능 모델로 출시된다

    밀착카메라 

공유하기

0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