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이슈플러스 가격 선 넘더니 결국.. 대참사 터진 ‘포터 봉고’, 소상공인들 초비상!

가격 선 넘더니 결국.. 대참사 터진 ‘포터 봉고’, 소상공인들 초비상!

이동영 기자 조회수  

포터, 봉고 판매량 빠르게 감소
경기 침체, 가격 인상 여파와
디젤 파워트레인 삭제도 영향

사진 출처 = ‘당근 마켓’

소상공인의 발이라고 불리는 포터, 봉고 1톤 트럭의 추락세가 심상치 않다. 올해 1~11월까지 현대차 포터와 기아 봉고의 판매량은 10만 1,870대로, 이 추세대로라면 올해 연 15만 대 판매를 넘기지 못할 것이 유력하다. 포터와 봉고의 합산 판매량이 15만 대를 넘기지 못한 건 2013년 이후로 11년 만이다.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당시 포터와 봉고는 10만 2,129대 판매량을 기록한 바 있다. 경기 침체로 인한 여파가 포터와 봉고 판매량에 직접적으로 드러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더해 지난 20년 사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 1톤 트럭의 가격도 소상공인들의 발을 무겁게 만드는 요소로 꼽혔다.

사진 출처 = ‘당근 마켓’
사진 출처 = ‘당근 마켓’

약 70% 수준 가격 인상됐다
디젤 엔진, LPG로 대체했지만

포터는 초장축 슈퍼캡 디젤 수동 기본 사양을 기준으로, 봉고는 초장축 킹캡 디젤 수동 기본 사양을 기준으로 20년 전인 2004년의 가격을 살펴봤을 때 각각 1,030만 원과 1,114만 원이었다. 이후 꾸준히 가격이 상승되어 20년 만에 포터는 1,815만 원, 봉고는 1,825만 원으로 올랐다. 이는 약 70% 가격이 인상된 셈으로 같은 기간 통계청이 밝힌 물가 상승률 50%를 웃도는 수준이다.

이에 더불어 환경 규제로 인해 디젤 파워트레인이 삭제된 것도 판매 감소 원인이다. 지난해 2023년 11월, 현대차는 디젤 포터를 단종했다. 대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소형 택배 화물차, 어린이 통학차 등에 디젤 파워트레인 사용을 금지하는 ‘대기관리권역법’ 때문이다. 현대차는 포터의 디젤 엔진을 삭제하면서 LPG 직분사 터보(T-LPDi) 엔진으로 대체했다.

사진 출처 = ‘당근 마켓’
사진 출처 = 네이버 카페 ‘전기차동호회’

적은 주행거리, 불편한 충전
전기 트럭도 비슷한 문제 제기

그러나 상대적으로 적은 LPG 충전소 탓에 LPG 충전에 상당한 불편이 따르고, 포터와 봉고를 생계를 위해 이용하는 이들이 많은 만큼, 이로 인한 시간 손실은 직접적인 타격이 됐다. 이와 더불어 1회 충전 시 주행거리도 디젤보다 짧아 장거리 운행 시 영향을 끼친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전기 트럭의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2019년 12월 첫 출시된 포터 2 일렉트릭은 전기차의 저렴한 연료비, 공영주차장 주차비 할인과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세제 혜택, 전기 화물차 보조금 등 다양한 제도적 혜택을 내세워 시장을 공략하고자 했다. 그러나 전기 트럭 특성상 배터리 충전에 시간이 소요되고, 1회 충전 시 주행거리도 넉넉하지 않아 이전부터 단점으로 제기되어 왔다.

사진 출처 = 네이버 카페 ‘전기차동호회’
사진 출처 = ‘BYD’

경쟁 상대도 마땅치 않다
소비자들 불만도 증가해

포터의 전기차 사양인 포터 2 일렉트릭의 경우 58.85kWh 리튬 이온 배터리가 탑재되어 1회 충전 시 211km의 거리를 주행한다. 다만 온도가 떨어지는 겨울철과 화물로 인해 무게가 늘어나면 주행거리는 급격히 줄어든다. 거의 절반 가까이 실 주행거리가 감소하기도 해 전기차 충전소가 있는 고속도로 휴게소 일부에는 포터와 봉고로 가득 차는 경우도 있었다.

국내 1톤 트럭 시장에서 기아 봉고와 포터가 독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소비자들은 별다른 대안이 없는 상황이다. 중국 완성차 업체 BYD가 전기 트럭 T4K를 국내에 출시했지만, 중국차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인 인식과 더불어, 중국산 배터리에 보조금을 적게 책정하는 환경부의 보조금 정책 기조로 인해 뚜렷한 경쟁력을 보이고 있지 못하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author-img
이동영 기자
Leedy@newautopost.co.kr

댓글33

300

댓글33

  • 흉기차 디젤기술부족 + 멀쩡한엔진도 없음

  • 탑차는 3천까지 받는다는게 말이되냐

  • 가격저렴한데 비싸다고 징징대는것은 뭐지? 포터.봉고는 팔아도 남지도 않음

  • 전세계에서 그래도 가장 싼 포터는 1,815만 원, 봉고는 1,825만이다. 어딜 가봐라.

  • 전기화물차와 Lpg 포터 는 현실적으로 동떨어진 생각이다 승용차와는 개념이 다르다 기존디젤포터봉고와는 힘과 충전시간 차주와는 만족도 제로이다 디젤차로 다시복원해야 경제가살고 차주들이 만족할것이다 환경때문에 그런다지만 포터 는 열외시켜야 한다 예를들어 전기차 포터타고 부산에서 서울까지왕복하면 이틀걸린다

[위클리] 랭킹 뉴스

  • 연휴 대비 자동차 점검.. 정비소 눈탱이 안 맞는 '대박' 꿀팁, 뭐길래?
  • 테슬라 이제 X됐네.. 올해 전기차 보조금, 충격적인 결과 나왔습니다
  • 그랜저 급 신차가 '3천만 원'.. 주행거리 1,600km 찍은 '이 차' 정체
  • 주유소 사장님이 싫어해요.. 단돈 '900만 원'인데 연비 미쳤다는 SUV
  • "어쩐지 불편하더라" 좁아 터진 한국 땅.. 자동차 숫자 '충격이다'
  • 야밤에 다 죽게 생겼다.. 쏘렌토 차주들 패닉에 빠트린 역대급 결함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단돈 ‘1천만 원’.. 중국서 넘어온 충격 가격의 마이바흐, 정체가 무려..
    단돈 ‘1천만 원’.. 중국서 넘어온 충격 가격의 마이바흐, 정체가 무려..
  • 국산차 보다 ‘1천만 원’ 싸다.. BYD 역대급 신차에 현대차 결국 ‘비상’
    국산차 보다 ‘1천만 원’ 싸다.. BYD 역대급 신차에 현대차 결국 ‘비상’
  • 단돈 ‘1,800만 원’.. 현시점 가성비 최강이라는 벤츠 오픈카 정체는?
    단돈 ‘1,800만 원’.. 현시점 가성비 최강이라는 벤츠 오픈카 정체는?
  • ‘세금 쏟아 붓는다’.. 결단 내린 정부, 2025년 전기차 정책 싹 바꾼다!
    ‘세금 쏟아 붓는다’.. 결단 내린 정부, 2025년 전기차 정책 싹 바꾼다!
  • ‘2천만 원대’ 확정! 중국 BYD, 한국 가격 공개.. 국산차들 비상이다!
    ‘2천만 원대’ 확정! 중국 BYD, 한국 가격 공개.. 국산차들 비상이다!
  • 400만 원 비싼데 이게 맞나.. 논란의 G80 블랙, 정말 사도 괜찮을까?
    400만 원 비싼데 이게 맞나.. 논란의 G80 블랙, 정말 사도 괜찮을까?
  • “31만대 판매 포르쉐의 위엄” 그러나 중국 때문에 비참해진 이유는?
    “31만대 판매 포르쉐의 위엄” 그러나 중국 때문에 비참해진 이유는?
  • “실구매가 2천만원대 BYD 전기차” 가성비 전략으로 국내시장 평정할까
    “실구매가 2천만원대 BYD 전기차” 가성비 전략으로 국내시장 평정할까

Hot Click, 연예가 소식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단돈 ‘1천만 원’.. 중국서 넘어온 충격 가격의 마이바흐, 정체가 무려..
    단돈 ‘1천만 원’.. 중국서 넘어온 충격 가격의 마이바흐, 정체가 무려..
  • 국산차 보다 ‘1천만 원’ 싸다.. BYD 역대급 신차에 현대차 결국 ‘비상’
    국산차 보다 ‘1천만 원’ 싸다.. BYD 역대급 신차에 현대차 결국 ‘비상’
  • 단돈 ‘1,800만 원’.. 현시점 가성비 최강이라는 벤츠 오픈카 정체는?
    단돈 ‘1,800만 원’.. 현시점 가성비 최강이라는 벤츠 오픈카 정체는?
  • ‘세금 쏟아 붓는다’.. 결단 내린 정부, 2025년 전기차 정책 싹 바꾼다!
    ‘세금 쏟아 붓는다’.. 결단 내린 정부, 2025년 전기차 정책 싹 바꾼다!
  • ‘2천만 원대’ 확정! 중국 BYD, 한국 가격 공개.. 국산차들 비상이다!
    ‘2천만 원대’ 확정! 중국 BYD, 한국 가격 공개.. 국산차들 비상이다!
  • 400만 원 비싼데 이게 맞나.. 논란의 G80 블랙, 정말 사도 괜찮을까?
    400만 원 비싼데 이게 맞나.. 논란의 G80 블랙, 정말 사도 괜찮을까?
  • “31만대 판매 포르쉐의 위엄” 그러나 중국 때문에 비참해진 이유는?
    “31만대 판매 포르쉐의 위엄” 그러나 중국 때문에 비참해진 이유는?
  • “실구매가 2천만원대 BYD 전기차” 가성비 전략으로 국내시장 평정할까
    “실구매가 2천만원대 BYD 전기차” 가성비 전략으로 국내시장 평정할까

추천 뉴스

  • 1
    목숨 살려주는 내 차 '이 기능'.. 운전자 90%가 몰라서 못 쓰는 중?

    밀착카메라 

  • 2
    단돈 '1,500만 원'이면 끝! 무려 경차 값에 산다는 SUV 3종, 뭐길래?

    밀착카메라 

  • 3
    '모델 Y? 우습다'.. 한국 상륙한다는 '4천만 원대' 수입 SUV, 뭐길래?

    밀착카메라 

  • 4
    '먼저 산 사람들 어쩌나'.. 2천만 원대 전기차, 올해 한국에 쏟아진다!

    밀착카메라 

  • 5
    무려 '2,145 마력'.. 슈퍼카 따윈 우습다는 픽업트럭 '이 모델' 뭐길래?

    밀착카메라 

지금 뜨는 뉴스

  • 1
    아무나 못 산다고? 의문의 스타리아 전기차, 그 정체에 아빠들 '멘붕'

    밀착카메라 

  • 2
    '아빠들 환장'.. 렉서스, 끝판왕 하이브리드 SUV 초대박 근황 전했다!

    밀착카메라 

  • 3
    국산차 보다 싸다.. 가격 박살 선언한 수입차 '이 차' 정체 뭐길래?

    밀착카메라 

공유하기

33

뷰어스 입점 신청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