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이슈플러스 쏘렌토, 싼타페 샀다가 ‘이 난리’.. 믿었던 SUV, 안전 수준 ‘들통’ 났다

쏘렌토, 싼타페 샀다가 ‘이 난리’.. 믿었던 SUV, 안전 수준 ‘들통’ 났다

황정빈 기자 조회수  

IIHS, 통계 결과 공개
큰 차가 무조건 안전하다?
그렇진 않은 것으로 알려져

사진 출처 = ‘Montgomery county police reporter’

전 세계에서 자동차를 시장에 판매할 때, 충돌 테스트는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단계다. 그중에서도 권위적인 기관이 한 곳 있는데, 미국의 IIHS다. 미국 고속도로안전보험협회라고 풀이할 수 있는 이 기관은, 사설 기관임에도 그 공신력이 대단하다. IIHS 시행하는 충돌 테스트에서 좋은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완성차 업체들이 차량 보강에 나설 정도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IIHS에서 흥미로운 통계 결과를 공개했다. 대부분 소비자들은 차량이 클수록 안전하다는 생각을 갖기 마련이다. 실제로도 그렇다고 한다. 단, 공차중량이 2톤 이하일 경우다. 이는 대형 트럭이나 대형 버스와 일반 승용차의 비교가 아니라 세단이나 SUV 등의 일반적인 차량을 상정한 것이다.

사진 출처 = ‘Mike Kelly Hyundai’
사진 출처 = ‘Platinum Sales and Service’

각종 전자 장비의 기본 탑재
크기와 연관 없게 한다

전 세계적으로 최신의 자동차엔 온갖 전자 장비가 탑재된다. 단적인 예로, 2025년 현재 출고되고 있는 아반떼의 경우에 전방 추돌 방지 장치가 기본 탑재되었으며, 차로 중앙 유지 보조 장치가 낮은 등급에도 적용되는데, 불과 2010년대 후반에 출고된 그랜저 HG에도 해당 기능이 없었던 점을 고려하면 기술의 발전이 어느 정도로 빠른지 체감할 수 있다.

이런 전자 장비의 기본화는 차체 크기와 내구성 등 물리적인 안전 기술보다 사고 예방과 회피 등 안전 기술의 중요성을 더 높게 평가하는 계기가 되었다. 즉 사고가 발생했을 때 어느 정도로 덜 다치느냐는 것이 아닌, 누가 더 민첩하고 똑똑하게 사고를 미리 방지하느냐의 프레임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당연히 민첩하고 똑똑하게 사고를 방지하는 것은 차종의 크기와 관계없이 제조사의 전자장비 탑재 여부나 세팅의 민감도 및 신뢰도를 따라가기 마련이다.

사진 출처 = ‘Motor1’
사진 출처 = Youtube ‘IIHS’

크다고 결과가 좋진 않아
제조원가 상승폭 고려

물론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는 그 크기가 비대해지는 것이 대세다. 도로는 한계까지 늘어나고 있으며, 더욱 광활한 공간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다.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 큰 차량이 충돌 테스트에서 최고의 결과를 보여주진 않는다. 무거운 만큼 충돌 시 흡수해야 하는 에너지의 양이 늘어나고, 그만큼의 보강이 진행되었는가도 중요한 지점이다.

제조사로선 고민이 많아지는 지점이 생긴다. 특정 차급에서 자사의 제품이 받을 수 있는 가격의 상한선이 어느 정도 정해져 있는 상황에서, 큰 차체와 이를 견디고 한참 여력이 남는 보강과 경쟁력 있는 옵션 등을 탑재하고 나면 제조원가가 훌쩍 상승해 버리는 것이다. 당연히 이익을 추구하는 집단인 자동차 제조사에서는 가격과 타협을 하게 되는데, 그것이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든,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든, 이것이 원가절감이다.

사진 출처 = Youtube ‘KM77’
사진 출처 = Youtube ‘IIHS’

2톤까지가 상한선
무거운 무게는 기동에 부정적

무겁고 큰 차가 안전하다는 상식은 공차중량이 2톤 내외일 경우에만 적용된다고 IIHS는 밝혔다. 2톤이 넘는 무게를 가진 차량은 충돌 시 운전자를 보호하는 능력이 그렇지 못한 차종에 비해 크게 상승한다고 보기 어려운 수치를 보여준다고 밝혔다. 전 세계 제조사에서 전기차를 설계 및 생산하며 경량화에 더욱 신경 쓰게 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무거운 공차중량은 사고를 막을 수 있는 회피기동에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당연히 공차중량이 가벼운 차량이 더욱 민첩한 조향 및 거동을 보이는 것은 공식이다. E-LSD 및 RWS 등의 전자장비로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는 것은 이미 모두가 알고 있지만 위급 상황에서 전자장비는 어디까지나 보조 수단일 뿐, 맹신할 수 있는 수단이 아니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author-img
황정빈 기자
hjb@newautopost.co.kr

댓글7

300

댓글7

  • 프레임바디가 안전하다고 볼 수 없어요 모노가 일정범위엣 더 안전하죠

  • Kgy

    프레임 바디가 아닌이상은 충돌에서 기대이상의 안정성을 바란다는것은 과욕임

  • 프레임 바디가 아닌이상 다찌그러짐

  • 미국 iihs테스트 받은적도 없는 쌍용차를 빠는 애들은 뭔 자신감?ㅋㅋㅋ기가스틸은 포스코 초고강도가판 브랜드 이름이고지금 기가스틸강도1.2기가 현대제철핫스탬핑강 강도1.8기가ㅋㅋㅋ

  • KGM 프레임바디 기가스틸 & 고장력강판 최고 묵직하고 견고하고 안정감있게 운행되고있지요

[위클리] 랭킹 뉴스

  • 중국산 요소수 '박멸한다'.. 정부, 70억 쏟아 만들겠다는 '이것' 정체
  • 제네시스 우습다.. 국내 출시 선언한 프리미엄 SUV, 고급감 '미쳤다'
  • 벌써 '안전 논란' 터졌다.. 반파된 테슬라 신형 모델 Y, 대체 '무슨 일?'
  • 결국 '1억 원' 돌파.. BMW와 벤츠, 결국엔 가격 올리겠다 '파격 선언'
  • 아이오닉 9 "벌써 끝났네".. 현대차 의문의 신차 공개, 정체 '충격'이다
  • '그랑 콜레오스 잡겠다' 선언.. KGM 역대급 하이브리드 또 출시한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벤츠 BMW ‘날벼락 쾅’.. 무려 1,000Km 간다는 아우디 대박 SUV
    벤츠 BMW ‘날벼락 쾅’.. 무려 1,000Km 간다는 아우디 대박 SUV
  • 스치기만 해도 ‘중상’.. 세상 제일 단단한 SUV, 마침내 등장 ‘대박’
    스치기만 해도 ‘중상’.. 세상 제일 단단한 SUV, 마침내 등장 ‘대박’
  • 취향이 “상남자 뺨 치는 수준”.. 배우 이청아, 의외로 ‘이런 車’ 탑니다
    취향이 “상남자 뺨 치는 수준”.. 배우 이청아, 의외로 ‘이런 車’ 탑니다
  • 주행거리 늘려도 ‘처참’.. 포터 전기차, 혹평 쏟아진 이유 ‘이거였다’
    주행거리 늘려도 ‘처참’.. 포터 전기차, 혹평 쏟아진 이유 ‘이거였다’
  • 기안84도 반했던 ‘이 車’.. 놀라운 근황에 커뮤니티 ‘발칵’ 난리났다
    기안84도 반했던 ‘이 車’.. 놀라운 근황에 커뮤니티 ‘발칵’ 난리났다
  • 안전성 1등 먹었다는 ‘샤오미 전기차’.. 까고 봤더니 이런 반전이?
    안전성 1등 먹었다는 ‘샤오미 전기차’.. 까고 봤더니 이런 반전이?
  • “중국 따라가기 바쁜 국산차” 중국 시장 전용 전기차 공개 임박!
    “중국 따라가기 바쁜 국산차” 중국 시장 전용 전기차 공개 임박!
  • “타스만 하이브리드 나오나?” 디젤 대신 전동화 택한 기아
    “타스만 하이브리드 나오나?” 디젤 대신 전동화 택한 기아

Hot Click, 연예가 소식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벤츠 BMW ‘날벼락 쾅’.. 무려 1,000Km 간다는 아우디 대박 SUV
    벤츠 BMW ‘날벼락 쾅’.. 무려 1,000Km 간다는 아우디 대박 SUV
  • 스치기만 해도 ‘중상’.. 세상 제일 단단한 SUV, 마침내 등장 ‘대박’
    스치기만 해도 ‘중상’.. 세상 제일 단단한 SUV, 마침내 등장 ‘대박’
  • 취향이 “상남자 뺨 치는 수준”.. 배우 이청아, 의외로 ‘이런 車’ 탑니다
    취향이 “상남자 뺨 치는 수준”.. 배우 이청아, 의외로 ‘이런 車’ 탑니다
  • 주행거리 늘려도 ‘처참’.. 포터 전기차, 혹평 쏟아진 이유 ‘이거였다’
    주행거리 늘려도 ‘처참’.. 포터 전기차, 혹평 쏟아진 이유 ‘이거였다’
  • 기안84도 반했던 ‘이 車’.. 놀라운 근황에 커뮤니티 ‘발칵’ 난리났다
    기안84도 반했던 ‘이 車’.. 놀라운 근황에 커뮤니티 ‘발칵’ 난리났다
  • 안전성 1등 먹었다는 ‘샤오미 전기차’.. 까고 봤더니 이런 반전이?
    안전성 1등 먹었다는 ‘샤오미 전기차’.. 까고 봤더니 이런 반전이?
  • “중국 따라가기 바쁜 국산차” 중국 시장 전용 전기차 공개 임박!
    “중국 따라가기 바쁜 국산차” 중국 시장 전용 전기차 공개 임박!
  • “타스만 하이브리드 나오나?” 디젤 대신 전동화 택한 기아
    “타스만 하이브리드 나오나?” 디젤 대신 전동화 택한 기아

추천 뉴스

  • 1
    마일레, 한국 수입차 고객 위해 서비스 활동 시작

    오토뉴스룸 

  • 2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대내외 변화'에 대한 해법 모색 나선다

    오토뉴스룸 

  • 3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준공식 개최

    오토뉴스룸 

  • 4
    보그워너, 2025 서울모빌리티쇼 통해 '모빌리티 혁신' 지원한다

    오토뉴스룸 

  • 5
    마세라티, 브랜드 창립 110주년 기념 '고객 경험 캠페인' 실시한다

    오토뉴스룸 

지금 뜨는 뉴스

  • 1
    금호석유화학그룹, 전기차·친환경 대응.. 새 성장 동력 '확보'

    오토뉴스룸 

  • 2
    셰플러 그룹, CSRD 기반 ‘2024 지속가능성 보고서’ 첫 발간

    오토뉴스룸 

  • 3
    빔모빌리티, AI 주차 평가 시스템 도입.. 청주에서 첫 적용 나선다

    오토뉴스룸 

  • 4
    벤츠,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 'AMG GT’ 등 15개 차량 전시

    오토뉴스룸 

  • 5
    이네오스 그레나디어 4종.. 2025 서울모빌리티쇼서 공개 나선다

    오토뉴스룸 

공유하기

7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