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특화 검사장비 3종
오는 6월부터 현장 실증
왜 이제서야 착수하나?
전기차 보급 확대를 외치는 정부의 목소리는 커졌지만, 정작 운행 중인 전기차의 안전검사 체계는 여전히 걸음마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이제야 뒤늦게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구체적인 조치가 시작된다는 점에서 ‘왜 이렇게 늦었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오는 6월부터 부산 해운대검사소에서 전기차 특화 검사장비 3종에 대한 현장 실증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충전 안전성, 보행자 보호, 배터리 상태 진단 등 전기차 핵심 안전 요소를 아우르는 검사체계를 갖추기 위한 첫걸음이다.
전기차 전용 검사장비
이제서야 실증 착수
우선 실증에 투입되는 첫 번째 장비는 자동 절연저항 검사장비다. 기존 검사 방식이 수동 중심이었던 데 반해, 이번 장비는 충전구 절연 상태를 자동으로 진단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공단은 2025년까지 모든 충전 포트에 호환 가능한 어댑터 개발도 병행해 검사 효율을 높일 계획이다.
두 번째는 저소음자동차경고음 발생장치 검사장비로, 정량적 계측을 통해 보행자 경고음의 기준치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기존에는 단순 청각 테스트에 의존했지만, 이번 장비는 외부 소음을 정밀하게 분석해 더 안전한 검사 환경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는 배터리 안전 진단 장비가 도입된다. 자체 개발된 전기차 진단기 KADIS와 차대동력계를 활용해 실제 주행을 시뮬레이션하며, 배터리의 이상 유무(SOB)와 건강 상태(SOH)를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다. 기존 정차 상태 검사에서 한층 진화한 셈이다.
말뿐이었던 전기차 확대
정작 검사 인프라는 미비
그동안 정부는 전기차 구매 보조금 확대와 충전 인프라 확충에만 집중해왔다. 그러나 정작 전기차의 안전성과 직결되는 검사 체계는 뒷전으로 밀려 있었다. 이번 실증 착수조차도 기술 개발은 완료됐지만, 실제 적용은 2026년 이후에나 가능하다는 점에서 ‘느릿한 대응’이라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해운대검사소 외에도 성산검사소 등 주요 거점에 친환경차 전용 검사진로 확대를 추진 중이며, 장비 실증 이후 전국 단위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100만 대 가까운 전기차가 도로를 달리고 있는 시점에서, 이러한 대응은 뒷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정부가 진정으로 친환경차 시대를 주도하고자 한다면, 보급과 인센티브 정책만이 아닌, 차량 안전성 확보를 위한 검사 제도 마련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선언적 정책보다 체감 가능한 제도 정비가 절실하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email protected]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