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줄이기 총력
예산 370억 원 투입한다
교통안전망 본격 대개편

전라남도가 올해 370억 원의 예산을 들여 도내 단속 카메라 등 교통안전 인프라를 전면 재정비한다. 이 사업은 도로 환경 개선을 넘어 인공지능과 스마트 기술을 도입하여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획기적으로 줄이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특히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고령자 사고 예방에 무게를 둔다. 교통약자를 위한 맞춤형 안전시설 확충에 역량을 집중할 예정이기도 하다.
총 4개 분야 26개 사업으로 구성된 이번 프로젝트는 보행자, 운전자, 어린이, 고령자 등 도로 위 모든 이용자를 위한 입체적인 안전 대책을 포함하고 있다. 전라남도는 사고 다발지역과 취약 계층 중심의 데이터 기반 접근 방식으로 실효성을 높일 계획이다. 일회성 조치가 아닌, 지속 가능하면서도 과학적인 교통안전 인프라 구축이 이번 정책의 핵심이다.

보호구역과 스마트 보행
인프라 집중 정비한다
고령자와 어린이 보호는 이번 사업의 핵심 중 하나다. 전라남도는 100억 원의 예산을 배정해 노인보호구역 19곳, 어린이 보호구역 103곳에 안전시설을 집중 확충한다. 횡단보도 시야 확보용 조명, 과속방지턱, 시각장애인 음성 유도기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모두 교통 약자를 위한 구조적 보호 장치로 기능할 예정이다.
또한 고령 운전자의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차선 이탈 방지 장치 692대를 지원한다. 이 장치는 급격한 조향을 감지하고 자동 경고를 발생시킨다. 그렇기에 운전자의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상황에서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기술을 통해 생명을 보호한다는 측면에서 의미 있는 시도다.
보행자 사고를 줄이기 위한 설계도 눈에 띈다. 전라남도는 총 119억 원을 들여 안전한 보행 환경을 조성한다. 마을 진입로에는 54곳의 과속 방지 시설이 설치되고, 횡단보도 시인성을 극대화한 활주로형 횡단보도 102곳이 새로 도입된다. 이 외에도 교차로 개선 14곳이 병행되어 보행자가 차량 흐름에 밀리지 않고 안전하게 도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과속 및 사고 다발지 정비
스마트 신호로 효율 높인다
전라남도는 운전자 사고 예방을 위한 정비에도 약 136억 원을 투입한다. 사고가 잦은 15곳을 중심으로 도로 구조를 개선하고 회전교차로 10곳을 새로 설치해 교통 흐름을 자연스럽게 유도한다. 이는 신호 체계를 최소화하면서도 사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방식으로 운전자 스트레스 또한 완화할 수 있다.
속도 과잉 운전을 단속하기 위한 하드웨어도 강화된다. 과속 단속 카메라 81대를 신규 설치하고, 시야 확보가 어려운 도로 구간 230곳에는 경고 표지판이 들어선다. 이 장치들은 감시가 아닌 위험 구간 사전 예고를 통해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야간 운전 시에도 유용할 것으로 평가된다.
최첨단 스마트 보행 시스템도 시범 도입된다. 15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이 사업을 통해 스마트 횡단보도 10곳과 보행신호 자동 연장 시스템 13곳이 설치된다. 인공지능 센서가 보행자의 이동 속도를 감지해 신호 시간을 자동으로 연장해 주는 시스템으로 노인, 어린이, 장애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강영구 도민안전실장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접근으로 교통안전시설을 선제적으로 확충하고 있다”며, “이번 사업을 통해 도민 모두가 안심하고 이동할 수 있는 교통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댓글347
교통사고때문이아니고 돈뜯어가려는수작들
송창한
신호등에도 숫자나오게 해주세요 필리핀에는 있슴
전라도 먹티
전라도
업체는 어떻게 선정할까?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