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사상 도시철도 싱크홀
원인은 시공사 부실시공
관리단, 감독기관도 책임 커..
부산 사상~하단선 도시철도 공사 구간에서 또다시 대형 싱크홀 발생해 지역 주민들의 불안이 고조되고 있다. 총 11차례나 반복된 사고가 지속된 관리 부실로 인해 발생했다는 점에서 비판 여론이 들끓고 있다.
감사 결과, 반복된 싱크홀의 근본 원인은 시공사와 건설관리단의 부실시공 및 안전관리 실패, 그리고 감독기관의 관리 소홀에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부산시는 재발 방지를 위해 공사 전반에 대한 관리 체계 강화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트럭까지 삼킨 싱크홀
결국 터진 ‘총체적 부실’
발생한 싱크홀 중 가장 큰 것은 가로 10m, 세로 8m, 깊이 8m에 달하는 거대한 규모였다. 사고 당시 트럭 두 대가 그대로 함몰돼 구조 작업이 진행되기도 했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도로 안전에 대한 시민 불신은 극에 달했다.
사상~하단선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땅 꺼짐 현상은 지속적으로 발생했다. 2023년에만 3건, 2024년 들어서는 벌써 8건이 발생했으며, 올해도 벌써 3건째다. 총 11건의 사고가 이어지는 동안 뚜렷한 개선 조치는 없었고, 사고가 날 때마다 뒷북 조사와 사후 조치만 반복된 것이 현실이다.
부산시 감사위는 “시공사와 건설사업관리단 모두 품질시험을 무자격 업체에 맡기고도 검토 없이 굴착 작업을 지시해 지하수와 토사가 유출됐다”고 지적했다. 결국 안전관리 실패는 인재(人災)였다는 점에서 더 큰 책임론이 뒤따르고 있다.
부실 덮은 감리
책임 피할 수 없어
감사 결과는 공사 전반이 얼마나 허술하게 관리됐는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건설사업관리단은 자격이 없는 하청업체의 품질시험 보고서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았고, 시공사는 이 보고서만 믿고 굴착 작업을 강행했다. 지반 붕괴와 지하수 유출은 예견된 사고였던 셈이다.
여기에 부산교통공사 역시 면죄부를 받지 못했다. 감사위는 “부진 공정을 만회하라는 지시만 있었을 뿐, 실제로 계획이 이행됐는지에 대한 점검은 이뤄지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제대로 된 컨트롤 타워 없이 책임을 떠넘기기에만 급급한 구조가 드러난 것이다.
결국 시는 시공사와 건설관리단에 벌점을 부과하고, 11억 원 상당의 설계 감액 조치를 취했다. 동시에 향후 공사 안전관리와 감독 체계를 전면 재정비하겠다고 밝혔지만, 반복된 사고에 따른 시민들의 불신을 회복하려면 실질적이고 가시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email protected]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