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프 그랜드 체로키
최근 스파이샷 포착됐다
최신 트렌드 충실히 반영

지프 브랜드 플래그십 SUV 그랜드 체로키가 페이스리프트를 앞두고 변화를 예고했다. 최근 해외 테스트카를 통해 포착된 2026년형 그랜드 체로키는 외관과 실내에서 모두 디테일에 초점을 맞춘 변화가 눈에 띈다. 특히 브랜드의 전동화 전략을 반영한 것도 눈에 띈다. 종합적으론 디지털 기술과 디자인 트렌드에 맞춘 변화가 중심이 된 것이 이번 페이스리프트의 핵심이다.
그랜드 체로키는 북미는 물론 글로벌 SUV 시장에서 지프를 상징하는 모델로, 고급감과 강인함을 동시에 상징하는 존재다. 이번 페이스리프트 모델은 차세대 기술을 반영한 새로운 칵핏이 적용된 인테리어, 새로운 전면부 디자인, 그리고 파워트레인 다운사이징 가능성 등 미래지향적 요소들을 고루 담아냈다.

전면부 변화 돋보인다
미래지향적 이미지 연상
가장 먼저 눈에 띄는 변화는 전면 디자인이다. 새로운 그릴은 이전보다 짧고 각진 구조로, 최근 디자인이 공개된 전기 SUV 레콘에서 따온 듯한 감각적인 모습이다. 그릴과 어우러진 새로운 범퍼는 3파트로 나누어진 라디에이터 그릴, 주행 보조 레이더 센서 등 플랫하지만 두꺼운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보다 미래지향적인 인상을 준다.
이번 변경에서 가장 의미 있는 변화 중 하나는 그랜드 체로키와 체로키 L이 처음으로 동일한 전면부 디자인을 공유하게 된다는 점이다. 외형적 변화는 크지 않지만, 디자인 일체화를 통해 제품 포지셔닝의 명확한 정리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안개등과 센서 구성 역시 새롭게 정렬되며 시각적인 통일감을 높인 지점이 엿보인다.

실내 디스플레이 확대
물리 버튼 호불호 있을 듯
실내 변화는 최신 차종 트렌드를 충실히 따른 대화면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가 중심이다. 기존 모델의 레이아웃을 유지하면서도 중앙 디스플레이는 훨씬 넓고 얇은 형태로 교체되었다. 크래시패드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스티치는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이외에도 고급스러운 가죽과 우드트림을 유지하면서도 첨단 감각이 강화된 것이 인상적이다.
다만 물리 버튼이 적어진 지점은 운전자 성향에 따라 호불호가 갈릴 수 있다. 볼륨과 튜닝 노브, 열선시트 디지털 버튼 등 일부 조작계는 화면 내에 통합되었으며, 물리 버튼을 선호하는 운전자들에겐 다소 아쉬운 부분일 수 있지만, 통합된 공조 컨트롤러 부분을 수납함으로 설계 변경된 것으로 내다보이는 것은 고무적이다.

다운사이징 추세에 올라탔다
내실을 다지는 페이스리프트
지프는 이번 페이스리프트 모델에서 기존 5,700cc급 HEMI V8을 완전히 퇴출시켰고, 3,600cc급 V6 역시 향후 2,000cc급 터보 엔진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다. 전동화 흐름과 환경 규제에 따라 성능보다 효율 중심의 라인업 조정이 불가피해 보인다.
아울러, 보이는 부분을 놓고 분석하면 외형보다 기능과 UX 중심의 진화에 집중한 변화로 보인다. 전기차 시대에 맞춰 다듬어진 디자인, 대형 디스플레이와 통합된 컨트롤러, 그리고 파워트레인 변화까지 지프의 체로키는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정통 SUV라는 상징성과 첨단 기술의 접점을 조율하고 있는 이번 체로키 페이스리프트는, 기존 지프 브랜드 상징성의 한 축이었던 차의 변신이기에 의미가 있다. 향후 북미 시장은 물론 국내 출시 일정에도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