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중형급 전기 픽업트럭 개발
북미 전략형 모델로 출시한다
국내선 타스만으로 픽업 시장 공략

기아가 본격적인 글로벌 전동화 전략 확대의 일환으로 미국 시장 전용 중형 전기 픽업트럭 모델을 출시할 계획이다. 기존 내연기관 기반의 타스만과는 달리, 해당 모델은 완전히 새로운 전기차 플랫폼에 기반하며, 북미 소비자를 위한 맞춤형 모델로 기획 중이다.
기아는 한국과 호주 등 신흥 시장을 중심으로 타스만을 전개하면서도, 미국 시장에는 타스만이 아닌 전기 픽업트럭을 별도로 투입해 미국 시장 공략에 나설 예정이다. 기아는 이를 도시와 야외 환경 모두에 적합한 설계, 우수한 적재 능력, 강력한 견인력, 최신 인포테인먼트 및 안전 사양을 모두 갖춘 ‘올인원’ 전기 픽업트럭으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동급 최고 수준의 실내 예고
신규 플랫폼 기반으로 개발
기아는 이번 전기 픽업트럭을 완전한 신규 플랫폼 기반으로 개발 중이다. 이 모델은 동급 최고 수준의 실내 및 적재 공간을 갖추고, 토잉 시스템을 OEM 수준에서 공동 개발해 견인 성능을 강화한다. 또한 오프로드 주행 환경에 특화된 기능들과 함께, 최신 안전 및 편의사양이 대거 탑재될 예정이다.
차체 구조는 바디 온 프레임을 기반으로 할 가능성이 높으며, 생산은 미국 조지아주의 현대차 공장에서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치킨세로 대표되는 고율 관세와 최근 강화되고 있는 미국 수입 규제를 피하기 위한 전략적 판단이다. 기아는 이번 픽업트럭 신차로 북미 픽업트럭 시장 점유율 7%, 연간 9만 대 판매라는 중장기 목표를 제시했다.
현재 북미 전기 픽업트럭 시장은 포드 F-150 라이트닝과 테슬라 사이버트럭 등 대형 모델 위주로 형성되어 있다. 중형급 전기 픽업트럭은 사실상 이렇다 할 경쟁력을 지닌 모델이 없는 상황이다. 기아는 이 시장의 빈틈을 정확히 겨냥했다. 특히 중형급 세그먼트를 선점할 경우, 기아가 해당 시장에서 입지를 단단히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기 픽업 테스트 뮬도 발견됐다
기아의 이원화 전략 통할까
지난해 북미 현지에서 EV9을 기반으로 한 전기 픽업트럭 테스트 뮬도 발견됐다. 전면부에는 기아의 플래그십 전기 SUV EV9의 스타맵 시그니처 헤드램프가 적용됐으며, 하단에는 붉은색 견인 고리가 장착되어 있어 본격 픽업트럭 모델임을 드러낸다. 측면에서는 화물 적재를 고려한 긴 리어 오버행이 돋보이며, 후면부는 현대차 싼타크루즈의 테일램프가 임시로 장착된 형태다. 이는 테스트 뮬 특성상 완성차와는 다른 부품이 일부 사용됐을 가능성이 높고, 최종 양산 모델의 외관은 이와 상당히 다를 것으로 보인다.
한편 기아는 타스만을 통해 한국과 호주를 중심으로 연간 8만 대 판매, 시장 점유율 6% 달성을 목표로 삼고 있다. 반면 북미에 투입될 전기 픽업트럭은 이와는 완전히 다른 전략하에 움직이며, 기아의 전동화 전략 중 가장 공격적인 모델로 평가받는다. 기아는 타스만을 통해 한국과 호주 등 신흥 시장에서 픽업트럭의 저변을 확대하고 있으며, 미국 시장에는 중형 전기 픽업트럭이라는 별도의 카드로 승부를 걸고 있다.
양 시장에서 각기 다른 전략을 내세운 기아의 이원화 전략이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업계의 관심 여부다. 특히 북미 시장에서 중형 전기 픽업트럭은 사실상 경쟁자가 부재한 상황이기에, 기아가 선점에 성공할 경우 미국 전기 픽업트럭 시장의 판도를 바꾸는 주역이 될 가능성도 충분하다. 북미 시장을 겨냥한 기아의 전기 픽업트럭이 향후 어떤 성과를 이룰지 주목되고 있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