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리아 EV 테스트카 포착
헤드램프, 휠까지 바뀌었다
실내도 대대적 변화 예고
현대차가 야심 차게 준비 중인 스타리아 EV의 시험 주행 장면이 포착됐다. 기존 내연기관 모델과는 다소 다른 디테일들이 확인되며, 본격적인 전기차 전환을 위한 실체가 하나둘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전면부 디자인과 하부 구조, 충전 포트 위치 등은 전동화 전용 모델로의 분명한 변화를 암시한다.
위장막에 가려진 채 포착된 시험 차량은 겉으로 보기엔 스타리아 밴 모델과 유사하지만, 디테일에선 뚜렷한 차이를 보여준다. 헤드램프 구성의 변경과 막힌 상단 그릴, 배터리 돌출 구조 등이 관찰된다. 스타리아 EV는 승합과 상용을 아우르는 멀티 MPV 시장을 겨냥하며 전기차 대중화를 확장할 핵심 차종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헤드램프부터 하부까지
전기차 전용 디자인 적용
스타리아 EV의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전면부 구성이다. 기존 내연기관 모델에 존재했던 상단 라디에이터 그릴은 완전히 삭제됐고, 하단 흡기구만 살아 있는 전기차 특유의 밀폐형 범퍼 디자인이 적용됐다. 이로 인해 전체적인 인상이 훨씬 세련되고 간결하게 재정비됐다.
헤드램프의 형태도 변화한 모습이 포착되었다. 위장막에 가려진 탓에 전체적인 형태는 알 수 없으나, 기존의 스타리아 모델과는 차이를 보일 것임을 유추할 수 있다.
차체 전면에서는 충전구 위치가 새롭게 확인됐다. 기존 연료 주입구와는 상이한 위치에 충전 포트가 위치하는 것이 특이한 점이다. 이와 더불어, 배터리 하단 구조물 역시 일부 노출돼 있다. 이를 통해 별도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이 아닌, 내연기관 모델의 플랫폼을 공유함을 추정할 수 있다.
바뀐 휠 디자인 포착
실내 변화도 암시
외관에서 비교적 소소한 변화로 보이는 휠 디자인 역시 눈여겨볼 만하다. 전기차 전용 디자인의 에어로 휠 패턴이 적용되며 공기저항을 줄이는 데 집중한 흔적이 포착됐다. 이는 EV 주행거리 확보에 실질적 도움을 주는 요소이며, 상품성 차별화의 핵심 포인트 중 하나다.
외장 변화가 기능 중심에 머무른 반면, 스타리아 EV의 실내는 한층 더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위장막의 범위가 넓고 시트를 포함한 대부분의 구조가 가려져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디지털 콕핏 강화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전면 재설계 가능성이 높다.
기존 내연기관 스타리아의 실내는 상용과 승용을 아우르는 중립적인 구성이었지만, EV 전용 모델에서는 전기차 전용 UI, 회생제동 조절, EV 전용 주행 모드 등 새로운 기능이 대거 추가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최근 현대차 전기차 모델들에서 도입 중인 통합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플레오스 시스템의 탑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