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에쿠스 상상도 렌더링
대한민국 최고급 세단의 명예
제네시스 G90 기반으로 제작
지금은 사라졌지만, 한 시대를 상징했던 이름이 있다. 에쿠스 라는 이름에는 단순한 고급차를 넘어선 시대적 위상이 담겨 있었다. 렉서스가 등장하기 이전, 제네시스 브랜드가 탄생하기 전까지, 대한민국에서 최고급 승용차란 곧 에쿠스를 의미했다. 지금도 많은 소비자들이 “에쿠스는 그냥 묻히기엔 아까운 이름이었다”라고 말한다. 그 이름이 사라졌다는 사실은 여전히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번 렌더링은 바로 그 상실감을 채워보기 위한 개인적인 시도에서 출발했다. 현대차가 다시 한 번 ‘에쿠스’라는 상징을 복원한다면 어떤 모습이 될까? 이를 가정하며 디자인된 상상 콘셉트다. 전면부는 현대의 새로운 디자인 언어와 1세대 에쿠스의 권위감을 조화롭게 연결했으며, 전체 비례는 제네시스 G90 기반으로 구성했다. 전장 5,230mm, 전폭과 전고는 제네시스 RS4 일반형과 동일한 수치로 가정하고 제작되었다.
무게감 필요한 플래그십 세단
각지고 웅장한 프로포션 재현
이 렌더링의 중심은 보수적 고급감에 있다. 최근 차량 디자인이 점점 더 유려하고 파격적으로 바뀌고 있지만, 플래그십 세단만큼은 무게감이 필요하다. 그래서 이번 콘셉트는 과감히 각을 살리고, 직선을 강조하는 조형으로 접근했다. 전면부는 좌우로 길게 뻗은 헤드램프에 삼각형 패턴의 입체 그릴을 조합했고, 후면부는 일자형 테일램프와 자잘한 라인이 없는 범퍼 라인을 통해 정숙하고 묵직한 인상을 전달하고자 했다.
측면부 윈도우 라인에는 크롬 몰딩을 두르고, 전체적인 루프라인은 G90보다 조금 더 각진 형태를 띠도록 설계했다. 이는 일부러 고전적인 세단 비례를 재현하기 위함이다. 최근 세단들이 쿠페형 루프라인을 채택하는 흐름과는 다른 결이다. 플래그십이 가져야 할 전통적 존재감을 강조하려는 의도다. 실제 차량으로 양산된다면, 상징성과 차별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디자인이다.
파워트레인은 G90과 공용
현대차 최상위 세단의 상징
기술적 구성은 현실을 기반으로 가정했다. 파워트레인은 현재의 G90과 동일하게 3,500cc급 터보 가솔린 및 48V 전동 슈퍼차저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탑재될 것으로 가정했다. 최고 출력은 415마력, 최대토크는 56kgf·m 내외로 설정된다. 기존 G90의 검증된 파워트레인 구성을 공유함으로써 브랜드 내 이질감을 최소화하고, 에쿠스만의 감성을 디자인과 포지셔닝으로 차별화하는 전략이 더해진다.
가격은 상상력을 더해 현실적인 수준으로 설정해 봤다. 제네시스 G90 롱휠베이스 모델이 1억 원대 중반에서 시작하는 만큼, 부활한 에쿠스는 일반 휠베이스 기준으로 8,000만 원대 후반에서 1억 원 초반 사이에 포지셔닝될 가능성이 있다. 이는 제네시스 브랜드와 적절한 간격을 두면서, 현대차 최상위 승용 모델이라는 상징적 위치를 유지하는 전략적 설정이다.
렉서스와 센추리는 다르다
제네시스와 에쿠스 역시 달라
자동차 업계에서 브랜드의 위계를 형성하는 방식은 다양하지만, 일본 토요타는 렉서스라는 프리미엄 브랜드를 운용하면서도, 내수 시장에는 별도로 센추리라는 고유 플래그십 세단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토요타 브랜드의 정점이면서, 동시에 렉서스와도 다른 위상과 용도의 모델이다. 현대차 역시 제네시스라는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지만, 그랜저가 미처 채우지 못하는 빈자리는 여전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에쿠스 상상 렌더링은 개인의 창작이자 실험이지만, 동시에 많은 소비자들이 느끼는 그리움에 대한 시각적 응답이기도 하다. 만약 현대차가 다시 에쿠스를 꺼내 든다면, 단순히 과거를 복원하는 수준을 넘어서야 할 것이다. 브랜드의 정체성과 시대가 요구하는 고급의 기준, 그리고 보수적인 조형미가 모두 융합된 모습이어야만 한다. 이번 렌더링은 그 가능성에 대한 즐거운 상상의 결과물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