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개념 자전거 '싹 압수해서 기부한다'.. 정부 정책에 시민들 "속 시원하네"정부대전청사에 방치된 자전거 115대가 지역 자활기업에 기부돼 저소득층의 이동수단으로 재활용된다. 자전거는 수리 후 복지시설에 기증되거나 저렴하게 판매되며, 수익은 자활사업에 활용된다. 공공 자산이 사회적 가치로 순환되는 사례다.
"차라리 킥보드가 낫다".. 시민들 불만 폭발한 공유 자전거, '이 정도라고?'공유 전기 자전거가 3년 새 7배 증가했지만, 방치돼도 견인이 불가능한 제도적 허점이 문제가 되고 있다. 도로교통법 대신 자전거 이용 활성화법이 적용돼 10일 이상 방치돼야만 조치 가능하며, 견인료 규정도 없어 실질적 단속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제 자전거 타면 '과태료 3만 원'.. 정부, 작정하고 세금 뜯겠다고 선언
울산경찰청은 올해 1분기 자전거 음주운전 단속 건수가 80건에 달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상시 단속과 함께 자전거도 도로교통법상 '운전'에 해당한다는 점을 알리기 위한 홍보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과태료 '50만 원' 참교육 시작.. 전국 민폐 자전거들, 비상 걸린 상황따뜻한 봄기운으로 인해 자전거를 즐기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차량에 자전거 캐리어를 장착하는 운전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일부 규정을 지키지 않으면 최대 25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어 교통법규를 준수할 수 있도록 주의해야한다.
'촉법인데 어쩔 건데?'.. 고속도로 한복판 달린 자전거, 그 충격 정체고속도로에 나타난 ‘이것’알고 보니 전기 자전거심지어 초등학생이 타 최근 부산의 한 도시 고속도로에서는 초등학생들이 전기 자전거 위에 탑승한 채 달리는 모습이 포착됐다. 빠르게 달리는 차들 사이로 위험천만하게 지나가던 전기 자전거는 사고가 안 나는 게 다행일 정도로 위태로운 상황이었다. 유튜브 채널 한문철TV에 해당 사례를 한 제보자는 “해당 고속도로는 제한속도 70km의 자동차전용도로다. 오토바이가 다닐 수 없는 도로인데 […]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