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자들 불편 호소하는
장기간 방치된 자전거
저소득자에게 기부한다
정부대전청사에서 방치된 자전거 115대가 지역 자활기업에 기부돼 저소득층의 이동 수단으로 재탄생한다. 자전거는 수리 후 복지시설 등에 제공되거나 저렴하게 판매돼 수익을 창출하고, 이는 일자리와 자립 지원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한다.
행정안전부 정부청사관리본부는 최근 대전정부청사에 장기간 방치된 자전거 115대를 지역 자활기업에 기부하며, 이들을 다시 지역사회에 순환시키는 작업에 착수했다. 버려진 자전거를 그냥 폐기하지 않고 재활용 자원으로 전환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방식이다.
자전거 115대
재생 자전거로
기부 대상은 대전·세종·충남권 유일의 자전거 기반 자활기업인 ‘행복 자전거 협동조합’이다. 이곳에서는 부품이 고장 났거나 관리되지 않은 자전거를 분해하고 재조립해 재생 자전거로 탈바꿈시키고 있다. 일부는 수리 후 사회복지시설이나 저소득 가정에 무상으로 제공되며, 일부는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돼 수익이 발생한다.
이 수익은 다시 자활센터의 운영비와 저소득층 일자리 창출에 쓰인다. 수리 과정에서 나오는 고철도 폐자원이 아닌 수익 자원으로 환원된다. 결과적으로, 자전거 한 대가 누군가에게 이동 수단이 되고 누군가에게는 일자리가 되는 셈이다. 정부대전청사는 청사 특성상 자전거의 이용이 활발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대전시의 자전거 도로 인프라와 청사 인근 지형이 평탄하다는 점도 한몫한다.
공무원들의 출퇴근 수단으로 쓰였던 자전거들 중 상당수는 인사 발령이나 이사로 인해 방치되곤 한다. 실제로 청사 측은 매년 약 50대 이상 자전거가 버려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일정 수량 이상이 누적되면 정기적으로 수거 공고를 내고, 1개월 이상 소유주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폐자전거로 분류해 자활센터에 기부하고 있다. 이번에 기증된 115대 역시 같은 과정을 거쳤다.
쓰임 잃은 교통수단
복지의 수단이 되다
방치된 자전거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재생 자원으로 다시 쓰인다는 점에서 이번 사업은 기부를 넘어선 의미를 가진다. 자전거는 이동 수단이라는 기능을 넘어, 저소득층에게는 직업의 기회와 자립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특히 교통약자나 복지시설에서는 중고 자전거가 실제로 이동의 범위를 바꾸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정부대전청사 관리본부는 이번 자전거 기부를 통해 버려지는 공공 자산의 재활용과 사회 환원을 동시에 실현했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선순환 구조가 보다 많은 지역으로 확산된다면, 자전거 한 대의 쓰임은 이동 수단에 그치지 않을 것이다. 앞으로도 지방청사나 공공기관 내에서 이 같은 순환형 기부 모델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바라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네티즌들은 방치된 자전거가 저소득층의 이동 수단으로 재활용되는 이번 사례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다. “버려질 뻔한 자전거가 다시 쓰임을 얻는다는 점이 뜻깊다”는 반응부터, “실제로 필요한 사람에게 잘 전달되길 바란다.”, “이런 정책은 전국적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까지 다양하다. 세금의 효율적 활용이라는 점에서도 호평이 이어졌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email protected]
댓글1
ㅁ
방치가 왜 무개념이지 어그로성 기레기 제목이네 하고 봤더니 오토포스트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