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보 XC60 변경 모델
최근 대세로 떠올랐다
좋은 브랜드 이미지 전략

‘볼보를 탄 사망자는 없다’라는 말을 아는 자동차 마니아가 많을 것이다. 롤오버 (전복) 테스트 및 오프셋 충돌 테스트에서 일명 ‘빗겨 치기’를 과시하는 등 안전에 있어 둘째가라면 서러운 볼보에서 새로운 모델을 출시했다. 바로 XC60의 2차 변경 모델이다. 최근 볼보는 브랜드 이미지가 나빠져 판매량이 감소 추세에 접어든 아우디를 제치고 단숨에 대세 브랜드로 떠올랐다.
차급과 관계없이 볼보는 모두 안전하다는 브랜드 이미지 전략이 매우 성공적으로 전개된 경우인 볼보는, 그간 안전한 이미지 때문인지 페이스리프트나 마이너체인지 모델의 변경 점이 다소 보수적이었다. 이번 변경 모델도 외관에서 라디에이터 그릴의 패턴 변경 등의 소소한 변경 점으로 다소 보수적 변경에 그치지 않나 싶었는데, 정작 중요한 변경은 실내에 있었다. 운전자로선 실외보다 실내를 더 많이 보기 때문에 실속 있는 변화로도 보인다.
우선 외관부터 톺아보자
약간의 변경으로 세련미
그래도 일단 외관에서 변경된 부분을 먼저 파악해 보고자 한다. 우선 연식 변경 모델인 만큼 금형에 변화를 주는 등의 파격은 없지만, 소소한 디테일을 변경한 것이 눈에 띈다. 라디에이터 그릴의 패턴을 XC90의 신형 모델과 비슷한 패턴으로 변경했으며, 새로운 색상이 도입되었다. 자동차의 인상을 결정짓는 휠에도 새로운 디자인이 적용되어 신선함을 더했다. 아울러 어두워진 테일램프가 눈에 띈다.
어두워진 테일램프는 별거 아닌 변경으로 보일 수 있지만, 자동차의 인상을 결정짓는 또 다른 중요한 요소다. 운전하며 오래 보는 것은 다름 아닌 선행 차량의 후면이다. 최신 자동차 디자인 트렌드가 마치 하나의 덩어리를 조각한 것과 같은 유기적 디자인을 채택하고 있어, 사소한 디테일이지만 디자인 측면에서는 세련된 느낌을 줄 수 있는 좋은 장치다. 물론 LED가 적용되어 제동등 점등 시엔 확실한 시인성을 보장한다.
가장 중요한 실내 변경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탑재
실내는 자동차를 선택할 때 어쩌면 외관보다 중요한 요소다. 자동차를 구매해서 가장 오랜 시간 보는 부분이며, 인포테인먼트 및 계기판 칵핏에는 매우 중요한 알림이 표시되거나 필요한 기능이 내장되어 있어 외관 디자인이 조금 부족하더라도 완벽한 칵핏을 가진 차종은 소비자의 만족을 불러온다. XC60의 변경 모델은 큰 틀만 살펴보면 기존의 볼보 또는 폴스타 일부 모델과 비슷한 칵핏을 보여준다. 하지만 살짝 튀어나온 인포테인먼트가 눈에 띈다.
이는 개선된 11.2인치의 디스플레이이며, AOSP (Android Open Source Project) 기반의 최신 볼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탑재했다. 차세대 퀄컴 칩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는 운전자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조종할 때 가장 중요한 반응속도를 두 배 이상 개선했다고 알려진다. 픽셀의 밀도 역시 21%가량 높여 디스플레이 선명도를 개선했으며, 무엇보다 운전자의 시야에 자연스럽게 걸리도록 위치를 높여 내비게이션을 이용하는 운전자의 안전 역시 도모하는 효과를 부른다.
파워트레인 변화 없는 것으로
내수 시장엔 하이브리드 기본
한편, 파워트레인에 변화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비판의 대상이 되기엔 무리가 있다. 기존에도 볼보의 4기통 2,000cc급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은 잘 정돈된 느낌을 전달했고, NVH (Noise, Vibration, Harshness) 대책 역시 좋은 편이라 부드러운 주행 질감을 선사했다. 아울러 검증된 파워트레인은 운전자로선 소모품 교환 및 차량 유지와 관리를 편하게 만들어준다.
볼보는 최근 중형 세단 라인업인 S60을 단종할 것으로 발표했기에, SUV를 선호하는 세계적 추세를 따를 것으로 알려졌다. 다르게 생각하면 라인업에 빈틈이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볼보는 중형급 라인업인 XC60의 상품성을 더욱 견고히 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현행 변경 모델뿐 아니라 차세대 풀체인지 모델에도 궤가 같을 것으로 보여 안전의 대명사 볼보의 행보가 주목된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