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섭게 치고 들어오는
중국 전기차 수준
모든 면에서 한국 제쳐

최근 ‘2025 글로벌 자동차 소비자 조사’가 공개됐다. 국내 소비자들에게 전기차를 구매할 때 가장 따지는 요소가 무엇인지 묻자, 과반 이상이 ‘경제성’을 꼽았다. 이번 조사는 전 세계 30개국 3만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고. 이들의 전기차 구매 결정 요인 1위는 연료비 절감, 2위는 환경 보호, 3위는 유지보수 비용 절감이었다.
전기차 캐즘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도 수요가 아예 바닥을 치지 않는 이유에는 위에서 언급한 경제성 때문으로 보인다. 정부, 지자체, 자동차 기업에서 지원하는 보조금과 세제 혜택 등으로 저렴한 구매가 가능할뿐더러 내연기관차에 비해 연비나 유지보수 비용이 훨씬 적게 들어간다.
경제성 때문에 전기차 선택
저렴한 가격 책정 통했다
사실 전기차는 따지고 보면 턱없이 부족한 충전소, 짧은 주행거리, 긴 충전시간, 배터리 폭발 위험 등의 이유로 지금 상황에선 불편한 점이 더 많다. 그런데도 완성차 업체에서 전기차를 꾸준히 출시하며 시장을 활성화시키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오히려 적자인데도 말이다. 그건 바로 미래 사회에서 전기차가 내연기관차의 대체제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중국은 몇 년 전부터 이를 캐치하고 전기차 산업에 온갖 돈을 투자 중이다. 국가지원까지 업은 중국의 전기차 시장은 단기간에 활성화됐고 지난해에는 한국은 물론, 자동차 산업 세계 1위인 일본의 기술력까지 앞지른 상태다. 이런 상황은 올해 초 중국의 전기차 기업인 BYD가 국내에 출범한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중국산 논란이 많았지만 파격적인 가격 정책 앞에선 소비자들도 속수무책이다.
중국의 전기차
개발 수준 뛰어나
BYD는 저렴한 가격으로 소형 SUV ‘아토3’를 출시, 가격은 3,150만 원부터 시작한다. 받을 수 있는 보조금을 받으면 2천만 원대에 차를 구매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런 가성비 마케팅은 국내 소비자들에게 통한 것으로 보인다. 사전 계약 1주일 만에 1,000대를 돌파했다는 소식이다. 그리고 이 인기에 힘입어 BYD는 하반기 전기 세단 ‘씰’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뿐만 아니다. 올 연말에는 중국의 대형 자동차 기업인 지리자동차의 프리미엄 브랜드 지커가 한국에 진출한다. 지커 측에 따르면 001과 7X을 가장 먼저 출시할 계획이라고. 지커의 경우 이미 여러 나라에서 성능과 디자인이 입증된 바 있다. 무섭게 치고 들어오는 중국의 전기차들에 우리나라 완성차 업체들은 현재 극도의 긴장 상태다. 그나마 다행인 건 아직까지 국내 소비자들 사이에서 중국의 이미지가 그리 좋지 않다는 것이다. 이때를 노려 국내 완성차 기업들은 기술력을 강화해 성능, 가격, 디자인, 안전성 등 모든 면에서 대중 앞에 괜찮은 전기차를 하루빨리 선보이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 전기차 시장
분위기는 어떨까?
최근엔 기아에서 전기 세단 EV4를 공개했다. 준중형 세단 K3를 단종시킨 후 나온 차량이라 더욱 대중의 관심을 받고 있다. 아직까지 가격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4,000만 원에서 5,000만 원 사이로 추측되고 있으며 국내외 커뮤니티에서 반응이 뜨거운 상태다. 현대차에서도 대형 SUV인 아이오닉 9을 6천만 원대에 출시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앞서 나온 기아의 EV9 금액이 7,300만 원부터였던 걸 생각하면 굉장히 저렴한 편이다. 외장 디자인이 투박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훌륭하다는 평이 많아 아이오닉 9 역시 국내 소비자들의 환심을 사고 있는 차 중 하나이다.
한편, 중국은 전기차 개발에 앞장서는 것 외에도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위해 계속해서 기술력을 강화하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훨씬 안전하고 성능도 좋다. 상용화될 시, 배티러 폭발로 인한 화재 사고 등은 현저히 줄어들 예정이다. 중국에게 밀리지 않도록 국내 기업들도 다각도로 전기차와 배터리 개발에 힘을 쏟아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