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먹거리 책임질 자율주행
정부, 과감하게 26억 투자
자율주행 서비스 전국 확대

정부가 미래 모빌리티 산업 발전에 힘쓰고 있다. 미래 핵심과제로 떠오르고 있는 친환경, 자율주행 기술에 투자를 아끼지 않을 계획이다. 그중 자율주행 서비스를 전국적으로 확대할 것임을 18일 국토교통부를 통해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서울, 세종, 경기, 충남, 경북, 경남, 제주 등에 자율주행 서비스 운영비 총 26억 원을 지원한다. 지역별로 서울 5억 원, 세종 1억 5,000만 원, 경기 판교 4억 5,000만 원, 경기 안양 3억 5,000만 원, 충남 천안 1억 5,000만 원, 경북 경주 6억 원, 경남 하동 1억 5,000만 원, 제주 2억 5,000만 원 등이다. 정부의 과감한 투자에 자율 주행 기술이 과연 비약적으로 발전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글로벌 자율경쟁 구도
서울시는 심야·새벽 위주
이번 지원은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서비스 지원사업’에 따른 것이다. 시범운행지구 내에 신기술과 서비스 공급을 통해 글로벌 자율주행 경쟁에 뒤처지지 않기 위함이다. 활발한 지원으로 자율주행 대중교통의 활성화를 꾀한다.
먼저 서울시는 심야·새벽 시간대 자율주행 서비스를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심야 시간, 강남의 택시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운행 구역을 강남 전체로 확대한다. 추가로 스스로 경로를 찾아가는 고난도 실증을 활성화한다.
노선과 차량 수 확대
시민의 편의까지 고려
강남 심야 자율주행 택시는 기존 역삼·대치·도곡·삼성·서초(일부)에서 논현·신사·압구정·청담까지 운행 구역을 확대한다. 또한, 차량 수도 3대에서 7대까지 늘린다. 자율주행 첫 차 버스는 기존 160번(도봉~영등포)에서 741번(은평~양재), 504번(금천~세종로), 148번(상계~고속터미널)까지 확대한다. 차 역시 1대에서 4대로 증차한다.
경남도는 대중교통 여건이 열악한 지역 위주로 버스를 운영할 예정이다. 고령층 비율이 높으며 이동에 불편을 겪는 농촌 지역 주민들을 위해 농촌형 자율주행 버스를 운영한다. 먼 거리를 이동하기 위해 택시를 타거나 심지어 걸어 다니던 불편을 해소할 방침이다.
지역 맞춤 서비스 운영
실질적인 문제는 따로?
그 외 각자 지역의 특성에 맞는 유연한 자율주행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판교의 경우는 근로자, 제주도는 관광객 위주의 노선으로 운영된다. 이번 투자로 자율주행 상용화에 한발 다가감은 물론 국민의 편의 또한 고취 시킨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수많은 오류와 사고가 발생하는 현 상황에서는 시기상조라고 말한다. 무작정 투자하고 지원하는 것이 아닌 어느 정도 여건이 갖춰졌을 때 상용화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미래 먹거리로 꼽히는 자율주행에서 경쟁력을 갖기 위해 보다 탄탄한 기술 검증과 안전 시스템 구축이 필요해 보인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