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행 중 갑자기 핸들
안 움직이는 현상
위험한 상황 발생할 수도

초보 운전자들은 도로 위 어느 상황이나 당황스럽겠지만 가장 식겁하는 순간을 말하라고 하면 대부분 ‘핸들락 현상’을 꼽을 것이다. 핸들락 현상이란 자동차의 핸들을 움직이려고 하는데 갑자기 핸들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다. 한마디로 핸들이 잠긴 것이다.
사실 핸들락이 일어나는 이유는 차량 도난을 막기 위한 자동차 회사의 배려이기도 한데, 이를 모르는 초보 운전자들은 난감하기 따로 없다고. 그렇다면 이럴 때 도대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함께 알아보자.
시동 꺼졌을 때는
고장이 아닌 ‘핸들락’
먼저는 시동을 켜기 전에 핸들이 잠겼을 때의 상황이다. 이런 경우는 고장이 아닌 위에서 말하는 진짜 ‘핸들락’일 확률이 높다. 핸들 잠김 기능은 주차 시 핸들을 정방향에 두지 않거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핸들을 좌우로 움직였을 경우 작동하게 된다고.
해결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자동차의 스마트키를 이용해 엔진 스타트 버튼을 누르면 핸들락이 자연스럽게 풀리게 된다. 그렇다면 연식이 오래되어서 스마트키가 아닌 열쇠로 시동을 걸어야 한다면? 핸들을 오른쪽이나 왼쪽 둘 중 한 방향으로 최대한 돌려놓고 차에 열쇠를 꽂으면 핸들락 현상이 풀린다.
주행 중 그런다면
문제일 확률이 높아
다음으로는 주행 중 핸들락 현상이 생겼을 때다. 이때는 핸들락이 아닌 고장일 확률이 높다. 자칫 잘못하면 위험천만한 사고가 일어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시동이 켜져 있는데 핸들이 움직이지 않으면 스티어링 휠이 고장 난 것이다. 특히 요즘 나오는 전자식 스티어링 휠에서 이런 고장이 자주 난다고 하니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또 토크 센서에 결함이 생기면 주행 중 핸들락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고. 토크 센서는 전자식 스티어링 휠에 사용되는데 운전자가 어디로 핸들을 돌리느냐에 따라 바퀴의 움직임을 감지,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근데 이 토크 센서에 문제가 생기면 당연히 바퀴의 움직임도 감지하지 못하게 되고, 스티어링 휠 방향 조절도 안 되는 것이다. 그 외에도 스티어링 휠의 모터 과열, 플렉시블 커플링의 노후화 등이 있다.
즉시 비상등 켜고
갓길로 이동해 점검해야
만약 주행 중 이런 상황이 발생한다면 즉시 비상등을 켜 근처 갓길로 이동해야 한다. 그리고 긴급 출동 서비스를 불러 정비소로 가 점검을 받아야 한다. 지난 2022년 14년식 LF 소나타 차량을 주행 중이던 운전자는 핸들 잠김으로 인해 큰 사고가 날 뻔했다고. 심지어 한 번이 아니라 여러 차례 이같은 현상을 겪었다고 한다.
해당 차주는 “주행 중 핸들 잠김 현상으로 인해 죽을 뻔했다. 현대차 정비센터에 항의를 했는데 생떼나 쓰는 사람인 양 취급하더라. 한동안 괜찮길래 그냥 타고 다녔는데 동일한 현상이 발생했다”며 불안해했다. 그러면서 “현대차는 이 문제로 쉬쉬한다. 항의하고 따지는 사람만 고쳐준다는 보도도 봤다”면서 “제대로 된 조치를 안 해준다”며 답답함을 토로하기도 했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댓글1
아저씨
나도 K7타고 가다가 그런 현상이 있어서 팔아버리고 외제차로 바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