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 새로운 플래그십
준대형 전기차 모델인 ID.7
주행 테스트서 941km 갔다
대중 수입차로서 가장 유명한 브랜드는 단연 폭스바겐일 것이다. 이런 폭스바겐도 프리미엄 브랜드화를 노리고 출시한 모델이 있었는데, 바로 과거 플래그십 세단 모델을 담당했던 페이톤이다. 그러나 실용적인 소형차를 선호하는 유럽 시장에서 해당 차량이 팔릴 일은 없었다. 그렇게 페이톤은 반쪽짜리 플래그십으로 자리하다 단종 됐고, 폭스바겐은 전기차 시장에 눈을 돌리게 된다.
이랬던 폭스바겐이 완전히 새로운 플래그십 세단 모델을 내놓았다. 그것도 전기차 모델로 말이다. 해당 모델의 정체는 바로 ID.7이다. 최근 주행거리로 시끌시끌했던 그 모델 맞다. 이번 시간에는 폭스바겐의 새로운 플래그십 세단, ID.7이 어떤 차량인지, 왜 주행거리로 시끌시끌했었는지,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독일 ADAC 자동차 평가서
역대 최고점 받게 된 ID.7
ID.7은 독일운전자연맹(ADAC)주관 자동차 평가에서 역대 최고점을 획득했다. ADAC는 유럽 최대 자동차 협회이며, 자동차 성능과 안전을 평가하기도 하는 꽤 공신력 높은 곳으로, 매년 100대 넘는 신차를 대상으로 7개 분야 350개 항목에 대한 공신력 있는 평가를 내린다.
이 평가에서 ID.7은 구동계 1점, 안전성 1.1점, 환경 1.2점, 편의성 1.5점을 받아 매우우수 등급을 획득했으며, 주행 특성 2.1점, 차체 및 적재공간 2.3점, 인테리어는 2.4점으로 우수 등급을 낮았다. 여기에 안정성과 환경 2개 항목에서 가산점을 받아 종합 1.5점을 받아 매우 우수 등급을 받았다. 참고로 종합 0.6~1.5점을 받으면 매우 우수 등급이 부여되는데, ADAC 평가 역사상 최초로 ID.7이 받은 것이다. 참고로 평가에는 ID.7 프로 S 트림이 활용되었다.
폭스바겐 ID.7이 유독
호평을 받은 이유는?
ID.7이 매우 우수를 받게된 이유로 긴 주행거리와 높은 효율성이 핵심으로 작용했다. WLTP 기준 프로 트림은 621km, 프로 S 트림은 702km를 인증 받았으며, 전비는 복함 5.49km/kWh으로 상당히 우수하다. 그 덕분에 에너지 소모량 항목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았다. 심지어 실주행 테스트에서는 1회 충전으로 941km를 주행하기도 했다. 거기다가 최대 175kW 출격으로 급속 충전이 가능하며, 10분 충전으로 최대 204km 주행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그 외 우수한 ADAS 시스템이 높은 안전성 점수를 받는데 기여했다. 편의성 부분에서는 챗 GPT가 탑재되어 기존 음성 제어 기능보다 편리하게 활용 가능하며, 어댑티브 클리마트로닉 시트와 마사지 기능을 갖춘 에르고 액티브 시트가 탑재된 점이 높게 평가 받았다.
아쉽게도 국내 출시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해
국내 출시는 아직 예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데, 정황상 어려워 보인다. 유럽 기준으로 5만 3,995유로부터 시작하는데, 한화로 환산하면 8,131만 원이다. 얼마 전 출시가 철회된 북미 지역에서도 5만달러(7,241만 원) 이상의 높은 가격대로 예상했다. 이를 종합해보면 대략 7천만 원 후반 정도로 책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되면 돈 더주고 8,468만 원부터 시작하는 제네시스 G80 전기 세단을 사는 것이 더 낫다는 계산이 나온다. 대중 브랜드와 프리미엄 브랜드의 차이도 있는 데다 G80 전기차는 페이스리프트 되면서 전장과 휠베이스가 더 길어진 롱바디로 바뀌면서 F세그먼트로 분류되는 K9과 크기가 비슷해졌다. 거기다가 선택 품목을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아도 웬만한 것들은 다 있어 가성비가 상당히 좋은 편이다. 좋은 평가를 받는 것과는 별개로 가성비가 아쉽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