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프 근래의 부진 벗어나나
레콘에 이어 체로키 부활한다
스파이샷 기반 렌더링 공개

지프가 다시 한번 정통 SUV 브랜드로서의 정체성을 회복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전동화 전환과 새로운 디자인 언어 도입 등 여러 시도를 했지만, 기존의 오프로드 팬층을 만족시키지 못하며 시장에서 고전했다. 그러나 지프는 레콘 4xe를 시작으로 다시 근본적인 브랜드 가치를 강조하기 시작했고, 그 연장선에서 체로키의 부활을 공식화했다.
2023년 단종되었던 체로키는 그랜드 체로키로 완전히 대체될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지프 경영진은 이를 번복하고,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장착한 새로운 체로키를 출시할 계획을 밝혔다. 부활을 예고한 지프 체로키, 어떤 모습으로 돌아올지 자세히 알아보자.
체로키 예상도 공개
스파이샷 기반해
이번에 공개된 체로키의 예상도는 최근 포착된 스파이샷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이 스파이샷에서 내연기관이 장착될 가능성이 높음이 확인되었으며,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적용도 유력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체로키 4xe는 높이감 있으면서 직선적인 윈도우 벨트 라인이 앞뒤로 뻗어있고, 그 위에 비교적 좁은 면적의 창문이 배치됐다. 또한 지프의 전통적인 디자인 요소인 7슬롯 그릴의 모습이 보인다. 이를 통해 전문가들은 지프 랭글러 S와 거의 유사한 디자인을 공유할 것으로 예측했다.
지프의 근본 찾기
만족할 수 있을까
지프는 최근 소위 말하는 ‘근본’ 찾기에 여념이 없다. 오프로드 성능을 대폭 강조한 레콘 4xe의 공개가 그 대표 격이다. 지프는 최근의 시도들이 그리 좋지 않은 성적을 거둔 것에 기인해, 원래 브랜드 이미지인 ‘오프로드’, ‘상남자’ 등의 키워드를 되찾으려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전문가들은 지프의 로드맵을 고려했을 때, 체로키 4xe의 출시일이 2026년일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체로키를 통해 지프 브랜드의 정체성 찾기가 성공리에 마무리되었음을 공표할 계획으로 보인다. 체로키는 지프 브랜드의 핵심 모델 중 하나였던 만큼, 이번 부활이 지프의 장기적인 브랜드 이미지 회복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막강한 경쟁상대
기존 팬 설득이 과제
체로키는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중형 SUV로 돌아올 가능성이 높다. 다만 실제 차체 크기는 준중형에 가까울 전망이다. 이에 따라 혼다 CR-V 하이브리드, 토요타 RAV4 하이브리드, 국내 모델 중에서는 스포티지, 투싼 하이브리드와 등과 정면으로 경쟁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체로키의 강점은 단순한 하이브리드 SUV가 아니라, 지프의 DNA를 유지하는 모델이라는 점이다.
치열한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선행되어야 하는 과제가 있다. 기존 팬들의 설득이다. 쟁쟁한 경쟁자들이 있지만, 체로키 4xe가 기존 팬들을 설득하는 데 성공한다면 어려움 없이 시장에 안착할 수 있으리라는 분석이다. 지프는 체로키의 부활을 통해 과거의 영광을 재현하고, 하이브리드 SUV 시장에서도 입지를 다질 수 있을까? 지프의 향후 행보에 시장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gmail.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