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보 S60 중고차
감가 시작되는 시점
지금이 구매 적기?

볼보는 명실상부 스웨덴 표 럭셔리 브랜드이자 안전에 있어서는 다시 언급하기엔 입이 아플 정도다. 그런데 이런 볼보도 약한 부분이 있는데, 바로 쏘나타, K5, 3시리즈 등이 포진한 중형 세단 카테고리다. 차를 잘 못 만들었다는 말이 아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SUV 열풍이 시작되며 중형 세단 판매 비중 자체가 많이 줄어들었고, 볼보가 선택과 집중을 하기 위해 결단을 내린 움직임으로 보인다.
하지만 전 세계 어딜 가나 세단 마니아는 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은 볼보의 중형세단 S60 중고차를 소개해 보고자 한다. 신차 구매자로선 곧 단종된다는 소식이 달갑지 않을 수 있어도 중고차를 사고자 하는 예비 차주들에겐 감가의 시작이니 호재로 작용한다. 더군다나 새로 개정된 스몰 오버랩 충돌 테스트에서 모든 제조사가 소위 ‘나가떨어질’ 때 유일하게 ‘빗겨 치기’로 안전을 입증한 볼보가 아닌가.
최신 볼보의 인터페이스
그대로 남겨둔 S60
S60이 곧 단종된다고 해서 구형 모델 특유의 칙칙하고 불편한 인터페이스나 구조로 되어 있다고 생각하면 엄청나게 큰 오산이다. S60 3세대는 볼보의 최신 인터페이스와 같은 구조를 취하고 있어 최신 차종과 비교했을 때 다른 점이 거의 없다. 애초에 3세대 모델을 현재도 판매하고 있으니 이는 당연한 말일 수도 있다. 아울러 볼보의 인포테인먼트는 또 하나의 장점이 있다.
볼보 인포테인먼트의 기본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많은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티맵’이다.
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한번 써본 사람이라면 누구나가 편리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스마트폰에서 사용하던 티맵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것은 당연한 일이고, 심지어 목적지를 설정하게 되면 디지털 클러스터에 지도가 그대로 옮겨간다. 운전자는 인포테인먼트 모니터를 멀티미디어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생기고 운전이 매우 편리해진다.
250마력의 충분한 출력
마일드 하이브리드의 매력
중형 세단이 갖춰야 할 적당한 출력의 선은 어디까지일까?
참고로 적당한 힘으로 균형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현대차의 쏘나타, 기아 K5 1,600cc 터보 모델이 제조사 발표상 180마력이다. 다시 말해 200마력이 채 되지 않는 출력으로도 중형 세단의 차급이라면 차체를 경쾌하게 이끌 수 있다는 말이 되는데, 그런 의미에서 S60의 힘은 충분하다 못해 넘쳐흐른다.
S60은 자그마치 250마력의 넉넉한 출력을 보여준다.
이는 숨겨진 고성능 중형세단으로 알려진 현대차의 쏘나타 디엣지 N라인의 290마력에 비해 40마력 정도 차이 나는 출력이다. 출력이 줄었는데 뭐가 좋은 것인지 묻는다면, 쏘나타 N라인의 290마력은 2,500cc 터보에서 뿜어져 나오는 출력이라 연비를 조금 포기해야 한다면, 볼보 S60의 250마력은 2,000cc 터보와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조합되어 연비도 준수하다는 것을 장점으로 꼽겠다.
짧은 주행거리 가졌다
차량 가격은 2,000만 원대
상술한 장점이 있는 볼보 S60, 설명만 들어서는 완벽한 차 같다.
그렇다면 이런 차가 비싸진 않을까 걱정이 될 수도 있는데 걱정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본래 중고차라는 재화의 특성 자체가 가격 대비 성능을 위주로 구매하는 것이 맞다. 실제로 볼보 S60 3세대의 중고 시세는 45,200km 대로 짧은 주행거리를 가진 매물이 2,500만 원대에 거래된다.
와닿지 않는다면 아반떼 신차 가격으로 주행거리 적은 수입 중형세단을 살 수 있다는 말로 바꿔보겠다.
여기에 준수한 연비와 믿음직한 안정성, 그리고 아우디를 밀어낼 만큼의 고급스러운 실내 재질과 부드러움과 탄탄함이 조화로운 승차감까지. 이 차를 사랑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실제로 볼보는 재구매율이 많은 브랜드로서, 이번 기회에 볼보의 매력에 흠뻑 빠져보는 것도 괜찮은 선택이 될 것이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