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안 된 에바 가루 사건
무상 수리 발표할 땐 언제고
모르쇠하고 있는 근황 알려져
2018년 현대차와 기아를 논란의 도마 위에 올렸던 ‘에바 가루 사건’이 아직도 해결되지 않았다. 에바 가루는 공기를 냉각시켜 주는 에어컨의 주요 장치인 ‘에바포레이터’ 표면 처리 불량으로 알루미늄이 부식되면서 만들어진 백색 가루를 뜻한다.
산화된 알루미늄이 가루 형태로 에어컨을 타고 실내로 분출되는 경우가 있었는데, 해당 가루는 수산화알루미늄으로 장기간 노출 시에 기종, 기흉, 뇌 기능 저하, 심혈관 질환, 치매 등의 다양한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전히 결함 발생하고 있어
본사 측에서 수리 거절해
기아의 쏘렌토, 스포티지 현대차의 그랜저, 아반떼, 팰리세이드 등 거의 전 모델에서 해당 현상이 발생해 소비자들의 항의가 거셌다. 시간이 지나 차츰 잊히는 듯했으나 여전히 같은 문제를 겪고 있는 이들이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그럼에도 현대차와 기아 측은 제대로 된 대응을 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밝혀져 논란이다.
앞서 국토부로부터 무상 수리 권고를 받은 바가 있지만, 단순히 권고 조치로 당시 사건을 마무리하면서 소비자들의 불만이 쏟아졌다. 현대차, 기아는 소비자들의 불만을 잠식시키기 위해서 무상 수리를 발표하기도 했다. 그렇게 사건이 잠식되는 줄 알았으나 최근 에바 가루 현상을 겪은 16년식 올 뉴 쏘렌토 차주가 기아 측으로부터 무상 수리를 거절 당한 사례가 알려렸다.
서비스 센터 측에서는
‘무상 수리 가능할 것’
앞서 해당 차주는 에바 가루 이슈 때 점검을 받았으나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구매 후 8년이 지난 지금, 에바 가루가 생겨 기아의 공식 서비스 센터 오토큐를 방문했다고 한다. 오토큐 측에서도 차량을 검사한 결과 에바포레이터에 부식과 녹이 생겼음을 확인하고, ‘무상으로 수리가 가능할 것’이라고 차주 측에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기아 본사 측에서 부품 요청을 반려해 무상으로 수리 받을 길이 막힌 상태라고 한다. 오토큐 측에서도 다시 한번 자세히 사진을 촬영해 본사에 요청하겠다고 한 상태이다. 하지만 이번에도 요청이 거절되면 자비로 수리하는 수밖에 없어 차주가 황당한 심경을 감추지 못했다.
비슷한 사례 속출해
쉬쉬하는 제조업체
해당 차주는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저가 부품을 사용해서 이런 문제가 발생된 것인데 어이가 없다’라며 입장을 밝혔다.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관련 현상을 겪은 이들을 찾아보면 아직도 수 많은 이들이 비슷한 현상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6세대 그랜저 IG 차주라고 소개한 글쓴이는 현대차 서비스 센터 블루핸즈 측으로부터 그랜저는 무상 수리가 해당되지 않는다는 답변을 들었다.
고객센터에도 문의를 해봤지만, 그랜저 IG는 해당 사항이 없다는 답변을 들었다. 소비자고발센터에서는 국토부에 결함 신고를 해서 리콜을 진행하는 수밖에 없다고 해 글쓴이는 직접 신고까지 마쳤다고 한다. 결함뿐 아니라 현대차와 기아의 대응도 미흡해 차주들이 불만을 호소하는 상황이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댓글7
그래서 결론은
1. 플럭스는 생산공정에 필수적은 재료이고 제조완료 후 반드시 제거해야 함. 2. 세척액을 가격을 절약하다 오염도가 임계점을 넘어섬. 3. 잔여 플럭스가 있음에도 품질 검사를 통과했고 그래로 현대에 납품함. 4. 현대차 공장에서 그대로 조립(HVAC 특성상 에바는 깊숙한 내부에 있기 때문에 조립과정에서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하다) 5. 특정 로트에서 불량이 랜덤 뽑기도 발생함. 6. 뭔가 이상함을 감지한 소비자가 센터를 방문함. 7. 센터에서는 나몰라라. 8. 열받은 소비자가 보배드림에 올림. 이상 뇌피셜 걸러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열교환기
다시 열교환기 얘기로 돌아가서 세척액을 갈아줘야할 타이밍이 훨씬 지나면 어느 생산로트부터는 플럭스가 눈에 띄게 증가할 것이다. 그리고 아주 드물게 소비자는 그 플럭스 가루를 체감을 할 것이고 그중 일부는 AS 받으러 센터에가 갔더니. 어떤 차는 신품 AS 교체 해주고 어떤 영업소에서는 모르쇠로 돌려 보냈을 텐데. 그중 아주 일부가 보배드림에 올렸더니 그런 사람이 혼자가 아니였더라다.
플럭스
저렴해지는 것이다. 물론 세척액은 순환하여 정화시키는 설비가 있지만 한계에 다다르면 주기적으로 교체해주어야 한다. 세척액 오염도가 한계에 이를수록 당연히 세척력은 감소하고 잔여 플럭스가 남게 되는 것이다. 쉽게 얘기하자면 60계 치킨을 상상해보자. 1번째 치킨과 60번째 기름에 튀긴 치킨은 당연히 다를 것이다. 하지만 61번째와 60번째는 큰 차이는 없을것인데 기름 아끼려고 200번을 튀겼다고 치자 하필이면 198번째에 부터 검은색이 나타났다면 198번째 199번째 200번째 치킨을 받은 소비자는 불만을 토로 할것이다.
플럭스 전문가
플럭스는 열교환기 생산 공정에 필수적인 물질인데 튜브 핀 헤더 사이드플레이트 배관 등 각각 다른 부품들이 브레이징이라는 공정(쉽게 상상하자면 피자굽는 기계)을 통해 Clad재료를 녹여 마치 납땝하듯 들러 붙게 함. 이때 클래드재 표면에는 산화피막이 존재하면 방해하는데 이 플럭스 하는 것이 산화피막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완성된 열교환기에는 잔여 플럭스가 존재하는데 세척공정을 통해 말끔히 제거가 가능하다. 여기서 세척액에는 세척용액이 일정 농도 유지해야하는데 이것이 곧 생산단가에 반영된다. 세척액을 많이 재탕할수록 생산단가가 저렴
열교환기 연구원
에바가루가 산화된 알루미늄이라 잘못 알려져 있는데 정확히는 플럭스(Flux)라는 것으로 인체에 무해함. 단지 세척공정에서 단가를 줄이려다 불량이 발생했는데 이걸 거르지 못하고 출고시켜 현대에 납품한게 문제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