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에 사용되는 리튬 배터리
최근 화재 피해 규모 막대했다
전기차 화재 대응법을 알아보자
최근 리튬 배터리 공장 화재가 크게 발생했고, 많은 사상자가 생겨났다. 리튬 배터리는 자동차, 휴대폰, 보조배터리 등 우리 생활 속에서 빠지지 않고 사용되기에 이런 사고는 더욱 와닿기 마련이다. 전기차의 경우 특히 화재의 위험과 불안감이 다른 제품에 비해 큰데, 이는 소비자들이 전기차를 구매하기 꺼리는 가장 큰 이유로 직결되기도 한다.
일반적인 화재와 다르게 리튬 배터리의 화재는 진압이 어려울 수 있다. 실제로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당황하며 기본적인 안전 수칙도 잊을 수 있는데, 전기차 배터리 화재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리튬 배터리 사용하는 전기차
여러 이유로 화재 발생 가능하다
우선 전기차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리튬 이온 배터리가 대표적이다. 리튬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리튬 이온이 음극으로 이동하며 불안정한 상태가 되는데, 배터리가 완충될 때 가장 그 정도가 심하다고 한다. 화재도 이때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다.
다른 화재와 다르게 리튬 배터리의 화재 진압이 더욱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배터리 내부 온도가 제어 불가능할 정도로 상승해 폭발하는 ‘열 폭주 현상’ 때문이다. 해당 현상의 주된 원인은 결함, 과충전, 방전, 외부 충격 등이 대표적이다. 전기차에서도 종종 열 폭주 현상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해 진압에 어려움이 생긴다.
일반인이 진압하기엔 어렵다
불산 가스 인체에 치명적
리튬 배터리의 가장 대표적인 화재 진압 방법은 다량의 냉각된 물을 전기차 배터리 팩에 직접 분사하는 것인데, 대부분 전기차 배터리가 차량 하단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생각보다 실행에 옮기기는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 운전자가 주행 중 배터리 화재 피해를 입었을 경우, 화재 진압보다 대피를 우선 해야한다. 리튬 배터리 특성상 폭발과 함께 불산 가스가 나와 화재를 키우고, 가스 흡입 시 화상을 입거나 심각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전문 진압 장비 도입 확대된다
직접 진압하지 말고 대피하자
최근에는 전기차 화재로 인한 대형 사고를 막기 위해 전기차 전용 화재 진압 시스템을 개발하는 업체도 늘어나고 있다. 차량의 하단으로 장비를 이동시켜 배터리팩에 구멍을 뚫고 물을 다량으로 분사하는 방식이다. 해당 기술은 전기차 화재를 약 2분 정도 안에 진압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 더불어 다양한 전기차 화재 진압 장비의 확대도 함께 이어져야 한다.
물론 운전 중에 이런 불의의 사고나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렇지만 화재가 발생할 경우 섣불리 제압하려고 하지 말고, 우선 거리를 두고 대피한 뒤 폭발이나 2차 피해 등으로부터 자신을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