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타 미니밴 시에나
페이스리프트 렌더링 공개
출시는 언제쯤 이뤄질까?

일본 내수 시장에는 판매되고 있지 않지만, 미국을 비롯한 주요 해외 시장에서 상당한 인기를 얻고 있는 토요타의 MPV 시에나. 현재는 개인이 직수입한 일부 차량만 일본에서 볼 수 있는 상황이다. 이런 시에나의 초대 모델은 1997년 첫 출시되어 이후 4세대 모델까지 명맥을 이어왔다.
현행 4세대 모델은 2020년 출시된 것으로, 4년 넘게 페이스리프트가 없는 상황이다. 3세대 모델도 출시 후 6년이 넘게 지나서야 페이스리프트를 진행한 만큼, 앞으로 1~2년 안에 4세대 페이스리프트가 공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가운데 신형 시에나의 예상 렌더링이 등장, 전 세계 소비자들에게서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캠리의 디자인 공유될 전망
해머헤드 램프로 전면부 변화
렌더링으로 공개된 신형 시에나의 모습을 살펴보면 3세대 페이스리프트가 캠리의 디자인을 공유해 변화를 이룬 것처럼, 이번에도 신형 캠리에 적용된 토요타의 최신 디자인 언어가 공유될 것으로 보인다. 먼저 전면부에는 토요타의 해머헤드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다만 헤드램프 끝을 날카롭게 처리해 스포티한 면모를 강조했다.
헤드램프 위로 연결된 일자형 주간주행등은 보닛의 파팅 라인과 연결되는 일체감 있는 디자인이 적용됐다. 하단에는 마름모꼴의 패턴과 사다리꼴의 공기흡입구가 배치됐다. 그 옆으로 돌출감 있는 차체 패널을 통해 공격적인 인상을 연출하고 있다. 범퍼 측면에는 검은색 트림이 안개등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었다.


측면부는 디테일 변화에 집중
캐릭터 라인 변화와 클래딩 추가
범퍼 하단에는 날렵하게 돌출되는 검은색의 프런트 립이 빨간색의 바디 컬러와 대비를 이루고 있다. 측면부에는 범퍼와 연결되는 블랙 하이그로시의 펜더 클래딩이 배치되었다. 휠 아치를 따라 클래딩은 원형의 형태를 이뤘다. 클래딩 사이에는 직선적인 디자인의 사이드 스커트 가니시가 자리해 포인트를 준 모습이다. 기존 테일램프에서부터 전면 도어 하단으로 연결되는 곡선의 캐릭터 라인은 직선적인 형태로 변화하면서 더 간결한 모습을 이뤘다.
이 외에 루프 라인 밑으로 적용된 크롬 가니시를 제거했고, 더 두꺼워진 C필러의 변화 정도가 확인된다. 두꺼워진 C필러에는 리어 글라스와 연결되는 검은색 몰딩을 적용해 디테일을 강조했다. 이에 맞춰 휠도 고광택의 검은색으로 변경되면서 세련된 이미지를 드러낸다. 후면부의 변화는 어떨까?


라이트 바 새롭게 장착한 후면
범퍼 디자인도 일부 변화했다
후면부에는 기존에는 없었던 수평의 라이트 바가 새롭게 적용됐다. 테일램프 끝은 이전보다 날카롭게 처리되었으며, C필러와 동일하게 검은색 몰딩으로 리어 도어 직전까지 일자 형태로 연장된다. 볼륨감을 통해 다소 복잡했던 테일게이트의 형태는 간결하게 변화했으며, 범퍼의 디자인은 기존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블랙 하이그로시가 적용된 범퍼의 면적을 확장해 리어 펜더의 클래딩과 일체감 있게 이어지도록 디자인한 것이 특징이다. 범퍼 내부에는 수평의 리플렉터가 기존과 동일하게 배치되었다. 직선적인 형태의 리어 글라스는 라운드 있는 곡선의 라인으로 변경되면서 현대적인 디자인 변화를 거쳤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