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글로벌 자동차 시장 변화에
대응하는 전략 모색해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은 27일 서울 엘타워에서 ‘춘계 자동차부품산업 발전 전략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 세미나에는 세계 자동차 시장의 판도를 파악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300여 명의 자동차 산업 관계자 및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현대차그룹이 후원하고,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과 HMG 경영연구원이 공동 주최한 이번 세미나는,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변화를 반영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유지와
인구 구조 변화 대응
안정구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이사장은 개회사에서 현대차와 기아가 2024년 글로벌 판매량 744만대를 기록하며 세계 3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현대차는 최근 미국 조지아주 HMGMA 공장을 준공하고, 미국에 향후 4년간 31조 원을 투자할 예정이라며, 이러한 투자가 국내 자동차 산업의 글로벌 시장 선도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한, 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과 결정과 중국산 자동차의 공격적인 시장 확대 등의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현대차가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
세미나의 첫 번째 발표자인 최윤석 산업통상자원부 자동차과 팀장은 자동차 산업 경쟁력 유지를 위한 정부의 노력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지난 2월 범부처 비상수출대책을 통해 수출 다변화 및 친환경차, 이차전지 분야의 역량 강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두 번째 발표자인 조영태 서울대학교 교수는 인구 지체 현상이 산업계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산업계가 변화하는 인구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고, 기술혁신과 시장 다각화를 통해 이러한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 발표에서는 박성규 HMG경영연구원 상무가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이 세계 경제질서에 미칠 파장을 분석했다. 그는 미국 중심의 세계 질서가 변화하고 있으며, 강대국들이 자국 중심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미국과 중국 간의 경쟁이 경제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크기 때문에, 각국의 대응 전략 수립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미래 시장을 대비하는
전략적 대응 필요
이번 세미나는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변화를 진단하고, 국내 자동차 산업이 미래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 중요한 자리였다. 산업계와 정부는 인구 구조 변화, 기술 혁신, 그리고 글로벌 경제질서의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데 지속적으로 힘써야 할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자동차부품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논의가 이어지며, 향후 산업계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댓글0